메타 태그

최현호·2022년 6월 14일
0

Study

목록 보기
1/1
post-thumbnail

메타 태그

메타 태그란?

  • 메타 태그(meta tag)는 웹페이지가 담고 있는 컨텐츠가 아닌
    웹페이지 자체의 정보를 명시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HTML 태그를 의미 합니다.
  • 메타 정보 즉, Meta data(메타 데이터)는 html 페이지에 표시 되지 않습니다.
  • 페이지에 대한 설명, 키워드, 제작자 및 각종 정보를 지정하고 표시하는 데 사용합니다.
  • 메타 태그는 주로 <head>태그 내에 선언 합니다.

예시

<meta name="keyword" content="HTML, meta, tag, element, reference">
<meta name="description" content="HTML meta tag page">
<meta name="author" content="TCPSchool">
<meta http-equiv="refresh" content="5;url=http://www.tcpschool.com">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1. keyword는 검색 엔진을 위한 키워드를 정의 합니다.
  2. description은 웹 페이지에 대한 설명을 정의 합니다.
  3. author는 문서의 저자를 정의 합니다.
  4. 5초 뒤에 다른 페이지로 리다이렉트(redirect)시키는 예제 입니다.
  5. viewport는 모든 장치에서 웹 사이트가 잘 보이도록 뷰포트를 설정 합니다.

검색 엔진 최적화(SEO) 와 메타 태그

검색 엔진 최적화 란

웹 페이지 검색엔진이 자료를 수집하고 순위를 매기는 방식에 맞게 웹 페이지를 구성해서 검색 결과의 상위에 나올 수 있게 한다. [위키백과]

  • 즉, 검색 결과 상위에 나의 컨텐츠가 나오게 하는 것 입니다.
  • 검색 엔진은 메타 태그를 기준으로 수집, 색인, 검색결과 노출 순으로 작업을 합니다.
  • 검색엔진 최적화 메타태그 종류

간단하게 검색 엔진 수집, 색인, 검색결과 노출 이란

캡처

  1. 사용자가 검색 엔진을 사용하기 전에 미리 웹 상에서 정보를 수집하여 색인을 만들어 놓습니다.
  2. 그리고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정보의 키워드를 입력하면
  3. 미리 만들어 놓은 색인 중에서 입력된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들을 찾아서 보여주는 것입니다.

검색엔진 작동 원리

  • 구글, 네이버, 다음 등 검색 사이트에는 검색 로봇 이란 것이 존재 합니다.
  • 이를 전문 용어로 크롤러 라고 부릅니다.

크롤러의 사전적 의미
: 웹 상의 다양한 정보를 자동으로 검색하고 색인하기 위해 검색엔진을 운영하는 사이트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스파이더(spider), 봇(bot), 지능 에이전트라고 한다.
출처 : 네이버 IT 용어 사전

  • 즉, 웹 상의 다양한 사이트의 정보를 자동으로 검색하고 목록을 만들어주는 소프트웨어 입니다.

크롤러 작동원리

  • 크롤러는 링크(link) 와 텍스트(text) 를 기반으로 인식하는 소프트웨어 입니다.
  1. 크롤러가 방문한 웹 페이지에서 링크 를 발견하면 내 웹 서버에 페이지 정보를 요청 합니다.
  2. 내 웹 서버는 검색엔진에게 웹 페이지 정보를 보내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메타태그(Meta Tag) 가 포함된 웹 페이지 정보 입니다.
  3. 크롤러는 이렇게 수집한 후 저장 과정에서 각 단어와 문구(검색어와 매칭), 그리고 가중치와 연관도 수치를 설정하고 끝나면, 결과 값을 색인(인덱스) 합니다.
    -> 즉, 목차를 만듭니다.
  4. 사용자들이 검색창에 검색을 하게 되었을 때 검색어와 연관이 높은 웹 페이지 들을 순서대로 보여줍니다.

하지만 검색 엔진을 위해 무조건 메타 태그가 좋은 점만 주는 것은 아닙니다.

  • 많은 <meta> 기능들이 잘 사용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keyword는 스팸 발송자들이 키워드의 내용에 수 백개를 집어 넣어서 악용한 사례가 있어서 검색 엔진이 아예 무시를 해버린다고 합니다.
  • 또한 리다이렉트는 페이지를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를 강제로 이동을 시킬 가능성도 있습니다.

참고

profile
현재 블로그 : https://choi-hyunho.com/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