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를 사용하며 가끔 메모리 관리는 어떻게 하는지 궁금하지 않은가? 이번에는 Javascript가 어떤 방식으로 메모리를 관리하는지 알아보자.
아직도 객체로만 컬렉션을 사용하는 당신에게 모던 자바스크립트의 Map, Set 을 소개합니다.
자바스크립트로 코딩을 하다보면 문자열 조합을 하게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혹시 아직도 concat, join, + 로만 조합을 하고 있지 않은가? 모던 자바스크립트에서 새로운 방법 인 템플릿 리터럴을 알아보자
자바 스크립트를 공부하고 사용하다보면 반드시 보게 되는 단어 '모던 자바스크립트' 이다. 이번에는 모던 자바스크립트가 뭔지,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 알아보자.
혹시 구글의 머터리얼 디자인 (Google Material Design)을 들어 본 적이 있는가?이것은 스큐어모피즘, 플랫 디자인의 뒤를 이은 디자인 기법 중 하나라고 보면 된다.이번에는 해당 디자인기법의 아이콘을 사용해보려 한다.
Git 의 commit은 최대한 명확한 범위 안에서 진행하려고 노력한다.그렇지만 부득이하게 대충 명확하지 못한 범위로 commit 하는 경우가 있다. 이번에는 히스토리가 남지 않게 rebase를 이용해 commit을 합쳐보자
보통 오픈소스를 개발하면 github에 많이 업로드 한다.오픈소스 중에는 openApi를 사용해서 개발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때 api 인증키가 사용된다.api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api 인증키가 본인 이외의 외부에 보여지는 것은 좋지 않다.이번에는 Nextjs에
세상에는 게으른 사람들이 많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게으른 건 개발자 인 것 같다. (나만 그럴수도..😅) 조금씩 더 효율적이고, 더 체계적이며, 더 간단하게 하고싶어 하기 때문이다. 이번에는 Next.js+Typescript 보일러 플레이트를 개발해보려 한다.
모든 개발과 마찬가지로, 최적화 방안을 생각하는 것은 항상 따라다닌다. 이번에는 React 컴포넌트는 어떻게 만들고 어떻게 최적화 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개발 관련 커뮤니티, 그리고 회사를 다니다 보면 "애자일하게 진행해", "폭포수 모델에서 애자일로 전환해야해" 라는 류의 이야기들을 종종 듣게 된다. 근데 대체 폭포수 모델, 애자일이 무엇인 걸까? 이번에는 이 알수 없는 단어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