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_pitt.log
로그인
hi_pitt.log
로그인
[R라뷰] 기초문법2
Brad Pitt
·
2022년 6월 9일
팔로우
0
0
TRUE / FALSE (진리값)
컴퓨터는 비트라느느 것을 사용해 작동함
비트는 0과 1 두가지 경우의 수만 존재
0 은 거짓 1은 참
& 기호는 곱하기로 간주함, 양쪽 데이터 모두 참일 경우에만 결과가 참
| 기호는 두 값 중 한가지만 참이어도 결과는 참
! 기호는 NOT의 의미를 가짐, "해당 데이터가 아닌 것"이라는 의미
NA형 / NULL형
NA는 결측값, Not Applicable, Not Available 로 표현하며, 정해진 범위 안에 있는 값이 아니라서 사용할 수 없는 경우를 의미함.
is.na(변수명) 함수를 이용해 변수가 NA 값인지 확인할 수 있음.
연산에 NA 값이 포함되어 있으면 결과도 NA로 나옴.
NULL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값(빈 값)을 의미함.
연산에 NULL 값이 포함되어 있으면 NULL값을 제외한 값을 연산하여 결과로 나옴.
NA와 NULL은 무서운 데이터형이므로 신경을 많이 써야함.
**
- na.rm = T 를 입력하여 NA값을 수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Factor 형
중복으로 나오는 데이터들을 각 값으로 모아서 대표 값을 출력함
[출처] R라뷰-R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 입문편, 서진수, 도서출판더알음
Brad Pitt
데이터는 철저하게 해석은 자유롭게
팔로우
이전 포스트
[R라뷰] 기초 문법
다음 포스트
[R라뷰] 기초문법3
0개의 댓글
댓글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