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JS에서는 8가지 기본 자료형이 있다.
자료형의 타입은 있지만, js 는 언제든지 바꿔버릴 수 있다.
이것을 동적타입 언어라고 부른다.
정수 및 부동소수점 숫자 (float)를 나타낸다.
Infinity
,-Infinity
,NaN
등의 특수 숫자값도 포함이 된다.
NaN => 계산중에 에러가 발생함을 알려준다.
(2^53-1) 보다 큰 값 혹은 -(2^53-1) 보다 작은 숫자를 사용할 때 사용한다.
일반적인 숫자 끝에 n을 붙여서 사용하면 bigint 타입으로 사용된다.123n
자주 사용되지 않는다..
문자형을 ""
따옴표로 묶는다.
c나 java의 char 타입은 없다.
백틱(') 사이에 ${}를 사용해서 변수나 표현식을 문자열 중간에서 사용가능하다.
true or false 이다.
지금까지 소개한 자료형 중 어디도 속하지 않는것.
null 값은 오로지 null 값만 포함하는 별도의 자료형을 만든다.
다른 언어에서 null pointer 으로 사용할 때 쓰는 null과 비슷하다.
비어있는 값, 알수 없는 값을 나타태는데 사용한다.
age = null
이면 나이를 알 수 없거나 그 값이 비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값이 할당되지 않은 상태를 나나탠다.
변수는 선언했지만, 값을 할당하지 않았다면, undefined가 할당된다.
객체형을 제외한 다른 자료형은 원시 자료형이라 부른다.
하지만 객체는 데이터컬렉션이나 복잡한 개체를 표현가능하다.
typeof 연산자는 인수의 자료형을 반환한다.
자료형을 알아내고자 할때 사용한다.
함수형과 연산자 두가지 형태로 사용가능하다.
1. typeof O
2. typeof(O)
몇가지 특이 케이스를 기억해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