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핵심 내용
<IPv4 주소 : 멀리 떨어진 컴퓨터를 찾아가는 주소
포트 번호 : 컴퓨터에서 실행중인 특정 프로그램을 찾아가는 주소>
LAN(Local Area Network) : 근거리 통신망(가까이 있는 것)
WAN(Wide Area Network) : LAN + LAN +LAN
STAR형 하나의 네트워크 장비에 모든 컴퓨터가 연결된 것(하나 망가지면 끝)
MESH형 하나의 네트워크 장비가 고장나도 서로 연결 가능
1.유니캐스트: 특정하나랑 통신
2.멀티 캐스트: 특정다수랑 통신(ex. 1분단 2분단~)
1+2=브로드 캐스트 : 모든 대상과 통신
네트워크 프로토콜: 가까운 곳 먼 곳 상관 없이 모두 다 씀
네트워크 계층 모델[(TCP/IP-4계층)(OSI-7계층)]: 네트워크의 표준
3계층에서 쓰는 주소
-IP주소
3계층 프로토콜
-ARP프로토콜
현대의 IP주소는 꼭 서브넷마스크(11111111.11111111.00000000.00000000같이 0이후로는 0만 써야하는)와 함께 사용함
공유기: 하나의 IP주소를 여러대의 컴퓨터가 사용할 수 있게 함
게이트웨이 주소 : 어딘가를 갈 때 찾아가는 주소 (대부분 공유기) 공유기 주소가 192.168.0.0 이면192.168.0.1
라우팅 테이블 : 일단 근접한 곳(한칸씩)으로 이동하면서 목적지까지 도착
IP주소: 멀리 떨어진 컴퓨터를 찾아가는 주소
공유기에 네트워크 대역을 설정(네트워크 대역은 사용하는 주소가 아님!!)
<리눅스 ip 설정>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160
입력 후
bootproto= dhcp(자동)을 bootproto=static (수동)으로 변경
온부트 YES로 변경
+추가
IPADDR=33.33.33.10
NETMASK=255.255.255.0
GATEWAY=33.33.33.2
DNS1=8.8.8.8
저장
<리눅스 명령어>
ip addr ip주소 확인
ping 8.8.8.8 ctrl+c로 멈춤
(ping은 통신이 되는지 확인하는 명령어
8.8.8.8은 구글의 DNS 서버주소)
init 6 재부팅
[wget 인터넷주소] 파일 다운로드
ls -al ./
rm -rf ./* (현재 디렉토리 아래의 파일 전체 삭제)
rpm -ivh 설치파일 경로
./configure
make
make install
해당 OS 만의 특정 웹에서 자동으로 다운 및 설치까지 진행(자동)
yum install 프로그램이름
yum erase 프로그램이름
설치된 프로그램 확인
rpm -qa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명령어
systemctl start 서비스이름 (서비스프로그램 실행)
systemctl stop 서비스이름 (서비스 프로그램 종료)
systemctl enable 서비스이름 (컴퓨터 부팅시 자동실행)
systemctl disable 서비스이름 (컴퓨터 부팅시 자동실행 하지 않음)
systemctl status 서비스이름 (켜져있는지 꺼져있는지 확인)
<서버프로그램 확인>
systemctl status 서비스이름
ps -ef
포트번호 확인
ㄴ>(netstat -anlp)
systemctl stop firewalld 방화벽 끔(nginx 접속 안 될 때)
<오류 메세지>
destination unrechable : 특정 컴퓨터를 찾아가지도 못할 때
time exceeded: 특정 컴퓨터를 찾아갔는데 읽씹당했을 때
<포트번호>
하나의 포트는 하나의 프로세스만 사용 가능하다
A가 66, 55,44 등을 쓰면
B는 A가 사용한 번호들을 쓸 수 없다
하나의 프로세스(A,B)가 여러 포트번호(66,55, 44)를 사용하는 것은 가능함
TCP는 안전한 통신 (송금 등) 아주 약간 느림
UDT는 덜 안전해도 되는 통신(동영상 다운로드 등) 빠름
리눅스 ip설정
nginx 설치
yum install nginx
nginx 실행
systemctl start nginx
yum install net-tools
netstate -anlp
포트포워딩이란?
공유기에 공인ip주소:호스트포트로 찾아오면
가상머신 사설 ip주소: 가상머신의 프로그램포트 여기로 보낸다.
친구한테 알려주는건 호스트포트
netstat -anlp | grep sshd 해서 ip와 포트번호를 putty에 입력하면 사용가능
복습할 것: IP설정 개념 정확히 정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