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ers] K번째 수

hw Y·2021년 6월 12일
0
post-thumbnail

[ Lv 1] K번째수

📋 문제 설명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array가 [1, 5, 2, 6, 3, 7, 4], i = 2, j = 5, k = 3이라면

  1.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5, 2, 6, 3]입니다.
  2.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2, 3, 5, 6]입니다.
  3.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

배열 array, [i, j, k]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array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array의 각 원소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commands의 길이는 1 이상 50 이하입니다.
  • commands의 각 원소는 길이가 3입니다.

입출력예

입출력 예 설명
[1, 5, 2, 6, 3, 7, 4]를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 [2, 3, 5, 6]의 세 번째 숫자는 5입니다.
[1, 5, 2, 6, 3, 7, 4]를 4번째부터 4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 [6]의 첫 번째 숫자는 6입니다.
[1, 5, 2, 6, 3, 7, 4]를 1번째부터 7번째까지 자릅니다. [1, 2, 3, 4, 5, 6, 7]의 세 번째 숫자는 3입니다.

✍ 문제 해석

일단 , 되게 단순하게 생각했다.

function solution(array, commands) {
    var answer = [];
    let i=0;
    let j=0;
    let k=0;
    for(var m =0; m<commands.length; m++){
        i = commands[m][0]
        j = commands[m][1]
        k = commands[m][2]
        let slice_arr = array.slice(i-1,j)
        let sort_arr = slice_arr.sort((a,b)=> a - b)
        answer.push(sort_arr[k-1])
    }
    
    return answer;
}

먼저 i,j,k 를 선언하고
for문으로 commends에 있는 i,j,k를 알아낸 다음
그걸 문제에서 원하는 대로 배열에서 i번째 , j 번째로 배열을 자른다음
그 배열을 순서대로 정렬한 다음
거기서 k번째의 숫자를 뽑아내서 array에 담아내는...

이렇게 풀어도 정답은 맞지만,,,
다른 사람의 풀이를 보고나서 음... 이렇게 풀어야하는구나 싶었다.
이렇게 짧게 풀어 내는 멋진 방법 몇 개를 소개해보겠다.

🔑 > 멋진 풀이

function solution(array, commands) {
  return commands.map(command => {
      const [sPosition, ePosition, position] = command
      const newArray = array
          .filter((value, fIndex) => fIndex >= sPosition - 1 && fIndex <= ePosition - 1)
          .sort((a,b) => a - b)    

      return newArray[position - 1]
  })
}

이 분의 방식은 디스트럭처링 할당 방법으로 연산자 좌측에 객체 타입의 변수를 선언하고 변수명은 객체의 프로퍼티 명으로 값을 바로 추출하는 방법으로 각각의 i,k,j를 알아내었다. 생각해보니 이 방법을 내가 주로 사용했었다.

💡Destructuring

디스트럭처링은 구조화된 배열 또는 객체 를 비구조화 해서 개별적인 변수에 할당하는 방법이다. 배열이나 객체에서 필요한 값을 추출하여 변수에 할당하거나 반환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내가 주로 사용했던 방법은 객체 디스트럭처링 방법이다.

객체디스트럭처링

var info = { name: 'hahaha', age: 25 };
var name = info.name;
var age = info.age;

console.log(name, age); // "hahaha 25"

const { name: n, age: a } = info; // 변수명(n,a)은 변경할 수 있음 (info 객체의 name 프로퍼티의 값을 n 에 할당, age 프로퍼티의 값을 a 에 할당 한다는 의미)
console.log(n, a); // "hahaha 25"

배열 디스트럭처링 방법

객체 디스트럭처링 과 사용 방법은 유사하다.

const nums = [1, 2, 3];

const [first, second, third] = nums;
console.log(first, second, third); // 1, 2, 3

const [first, , third] = nums;
console.log(first, third); // 1, 3

const [first, second, third, fourth = 4] = nums; // 이런식의 default value 설정도 가능
console.log(first, second, third, fourth); // 1, 2, 3, 4

이게 왜 이렇게 되는지 모르고 당연하게 생각했는데 이렇게도 활용이 된다니... 역시 배워야할게 많다.

🔑 > 더 간결한 풀이

function solution(array, commands) {
    return commands.map(v => {
        return array.slice(v[0] - 1, v[1]).sort((a, b) => a - b).slice(v[2] - 1, v[2])[0];
    });
}

이 풀이는 더 더욱 간결하다. 일단 commends에 map 해서 v[0]=i / v[1]=j / v[2]=k 를 문제에 상황에 맞게 넣어서 알아냈다.
완전 간결한 풀이다.

  • filter 와 sort 를 이런식으로 한 줄로 활용하니 코드가 더 깔끔하게 보였다. 앞으로 이런식으로 알고리즘을 풀어봐야겠다.
profile
음... 이게 뭐더라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