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를 프로비저닝하거나 관리하지 않고도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 강의에서는 S3와 연동해서 특정 값이 담긴 json파일을 업로드하면 그에 따라 lambda 함수가 출력하는 값이 다른 예시를 보여주었다. 사용하는 경우는 여기에.
1. container 생성 & 실행 관련 명령어
container 생성 & 실행: $ docker run
(옵션 -d
는 백그라운드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함)
container 중지: $ docker stop
container 실행: $ docker start
container 재실행: $ docker restart
2. container 관리 관련 명령어
container 확인: $ docker ps
container 삭제: $ docker rm
3. container 실행 관리 관련 명령어
container 로그 확인: $ docker logs
container에 명령어 수행: $ docker exec
4. image 관리 관련 명령어
image 확인: $ docker images
image 삭제: $ docker rmi
image 다운로드: $ docker pull
image 업로드: $ docker push
image 태그 지정: $ docker tag
명령어 | 설명 |
---|---|
FROM | 베이스 이미지를 설정. <이미지 이름>:<태그> 형식으로 설정 |
METATAINER | 메인테이너 정보 |
RUN | 셀 스크립트 혹은 명령어 실행. 이미지 생성 시에 실행 |
CMD | 컨테이너가 시작되었을 때 실행할 실행 파일 또는 셸 스크립트 |
EXPOSE | 호스트와 연결할 포트 번호 |
WORKDIR | CMD에서 설정한 실행 파일이 실행될 디렉터리 |
API를 생성, 유지 관리 및 보호. REST API를 선택해 AWS Lambda와 연동하면 서버리스(개발자가 서버를 관리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 환경 구축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