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seInt()와 Math.floor() 차이점
![]()
- 양수일 때는 차이가 없지만, 음수일 경우 차이가 있다.
- Math.floor는 소수 첫째 자리에서 양수일 때처럼 내림한다.
- parseInt는 올림한다 => parseInt 메서드는 소수점을 버린다
- 반복문을 쓰는 이유?
- 불필요한 코드를 반복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간결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 for문을 사용하는 경우
- 반복 횟수가 비교적 명확할 때
- 배열, 문자열 내부를 순회할 때
- 반복문의 중첩이 필요할 때
- while문을 사용하는 경우
- 반복 횟수가 명확하지 않을 때
- 삼항조건연산자
// 삼항연산자 사용 let num = 5; num % 2 === 0 ? console.log('짝수') : console.log('홀수'); // '홀수' // if문 사용 let num = 5; if (num % 2 === 0) { console.log('짝수입니다.'); } else { console.log('홀수입니다.'); // '홀수입니다.' }
조건에 따라 실행할 코드가 간단하다면?
삼항 조건 연산자를 활용하는 것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가독성도 좋다.
function isPrime(num) {
// 1은 소수가 아니다. 2는 소수
if(num === 1) return false;
if(num === 2) return true;
// i로 나눈 결과 나머지가 0이면 소수가 아니다.
for(let i = 2; i<num; i++){
if(num % i === 0){
return false;
}
}
return true;
}
오랜만에 소수문제를 풀어보는데, 바로 풀리지 않아서 당황했다. 알고리즘은 역시 꾸준하게 조금씩이라도 풀어야겠다. 오늘은 하루종일 혼자서 공부하는 시간이었다. 중간중간 알아서 쉬는시간을 가지며 주어진 시간에는 열심히 공부했던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