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AWS의 기초 1

Donghyeon Ko·2023년 9월 2일
0

☁️ [Cloud]

목록 보기
1/6
post-thumbnail

온프레미스와 AWS용어 차이

📌 온프레미스(On-premise)란?
기업에서 자체적으로 보유한 전산실 서버에 직접 설치해 운영하는 방식

📌사진에서 나온 온프레미스 용어와 AWS 용어 매칭

  • 방화벽 = 보안그룹
  • ACL = NACL
  • 관리자 권한 = IAM
  • L4, 로드밸런서 = ELB(엘라스틱 로드 밸런서), 탄력+ 적 로드 밸런서, ALB, NLB, GWLB 등
  • 네트워크 = VPC
  • 서버 = EC2
  • NAS = EFS(탄력적 파일 시스템)
  • 디스크 = EBS(탄력적 블록 스토어 저장장치)
  • DB = RDS(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온프레미스와 AWS의 기본구성 및 비교

온프레미스에서의 사용자의 서비스 사용 순서

  • 특정 서비스에 연결할 때 도메인 질의를 한다.
  • DNS 서비스가 응답한다.
  • 해당 도메인을 IP로 변환되어 서버에 연결한다.
  • 서버의 디스크의 데이터를 읽는다.
  • 비즈니스적으로 요청한 데이터가 있다면 DB에서 읽어온다.
  • 스토리지에 저장된 이미지나 첨부파일을 다운받아 사용한다.

AWS에서의 사용자의 서비스 사용 순서

  • 특정 서비스에 연결할 때 도메인 질의를 한다.
  • Route53이 도메인에 대한 응답을 한다.
    (DNS포트가53이라 라우트53이다).
  • 서버 EC2로 접속한다.
  • 로컬 디스크인 EBS에서 데이터를 읽는다
  • 비즈니스적으로 요청한 데이터가 있다면 Amazon DB에서 읽어온다.
  • S3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장소이다.

AWS 엣지 인프라 서비스

공식문서

AWS Outposts

AWS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온프레미스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확장하는 것

AWS Local Zones

대형 메트로 센터에서 사용하는 엣지 서비스. (한국은 없다)

AWS Wavelength

5G 네트워크 엣지 서비스.
통신사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하는 것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