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nder 무료 플랜으로 사이트를 배포하고 얼마 뒤, Render.com 의 이름으로 카드 지출 알림이 떴다. 이게 무슨 일이지?! 헐레벌떡 render에 들어가보았지만 영문을 알 수 없고. 분명 무료 플랜인 individual 이 맞는데..
하지만 여러분. render에는 계정 정기결제 플랜만 있는 게 아니란 사실 알고 계셨습니까..
(돈 나가고 있는 사진 첨부..)
render에서는 계정 뿐만 아닌 서버와 데이터베이스에도 정기 결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render를 처음 써보는 나는 그 사실을 모르고 지나쳤던 것.
무료 사용을 위해선 render에서 처음 site를 만들 때 아래 database 와 web service를 starter 가 아닌 free로 바꿔줬어야 했던 것이었다.
(이걸 노린 건지 starter가 기본 설정 되어있음)
그렇다면 이미 starter로 database 와 web service를 만들어버린 우리는 어떻게 해야할까? 아래 방법을 따라가보자.
(꼭 아래 순서를 따라 갈 것)
dashboard - database 를 들어가 이름 옆의 starter 버튼을 누르면 PostgreSQL은 free로 다운그레이드가 안된다고 나와있다. 다행히 나는 db에 아무것도 저장되어있는 것이 없는 상태여서 백업을 하는 과정은 생략하기로 했다.
1) 프로필 옆 new버튼 - PostgreSQL 을 눌러 database를 free 요금제로 새로 생성한다.
2) 새로 생성한 db의 info에 들어가 Internal Database URL 를 복사한다.
3) backend의 Environment 에 들어가 DATABASE_URL를 위에서 복사한 URL로 변경, 저장해준다.
그럼 Backend 와 DB 연결 완료!
현재 db를 새로 생성했기 때문에 superuser부터 다시 생성해야 하는 상황.
그러나 backend free 요금제에선 backend-shell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요금제를 변경하기 전(!!) 꼭 superuser를 먼저 생성해야한다.
1) backend - shell 에서 python manage.py createsuperuser
2) superuser 생성 후 admin에 들어가 로그인이 잘 되는 것 까지 확인한 뒤, backend 이름 옆의 starter를 눌러 free 요금제로 바꿔준다.
이렇게 하면 render start 요금제에서 free 요금제로 다운그레이드 하기 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