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28 TIL

handaewon·2023년 11월 28일
1

알고리즘(コード方)

알고리즘을 푼다 -> 문제를 해결한다

Example
동작세무서에서 우리 아버지에게 소득세(input)와 부가세(input)를 신고, 납부(output)하라고 고지서(문제)를 보냈을 때 납세자이신 아버지는 국가에 세금을 납부를 해야한다.

여러가지 방법으로 수행(해결)할 수 있다.
함수 input, output이 있다.

1)method A
예상치 못한 방법으로 문제를 푼 알고리즘

나는 세금 신고, 납부하는 방법을 잘 몰라서 동작세무서에 방문해서
직원에게 상담을 받은 뒤 소득세와 부가세를 신고 후 납부를 했다.

2)method B
최적화를 진행한 알고리즘

아버지의 갤럭시 노트22 울트라를 이용하여 국세청 홈텍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고 로그인을 해서 소득세와 부가세를 신고, 납부한 후 남는시간에 아임레디몰에서 Eye쇼핑을 한다.

3)method C
간단하고 효율적 알고리즘
PC에서 국세청 홈택스 로그인 후 소득세와 재산세를 신고, 납부한다.

스위프트 문법

데이터 타입

II. 프로퍼티 출력, 함수
1)할당 연산자 =

  • A = B

  •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이 표현은 “B값을 A에 할당한다”는 의미이다.
    우변에 있는 값을 좌변의 변수(variables)에 할당(assign)한다는 의미이다. 이 방향을 기억하는것이 중요하다.

    assign operator
    let color = "Blue"
    print(color)
    var foodName = "레드향"
    var fruitName = "포도"
    foodName = fruitName
    print(foodName)
    '''
  • 변수 여러 개를 한번에 선언하고 값을 할당하는 방법

    	'var a = 1, b = 2, c = 3'

2)저장 프로퍼티(Stored Property)
let 상수

  • 변경할 수 없는 상수(Constant)를 선언할 때 사용합니다

var 상수

  • 변경할 수 있는 변수(Variable)를 선언할 때 사용합니다

Quetion

  • Cannot assign to value: 'name' is a 'let' constant
  • Change 'let' to 'var' to make it mutable

Answer
: 값을 할당할 수 없다: name은 상수이다.
let을 var(변수)로 만들고 타입을 변경하라

constant 변함없는(상수)
mutable 변할수있는(변수)
Change A to B A를 B로 변경하다

profile
iOS Develop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