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상(皮相)적이다.

nagang·2025년 4월 29일
0

피상적이다. (겉핥기처럼 본질을 깊게 이해하지 못함)

— 겉핥기 사고에서 벗어나려면

우리는 종종 문제를 눈앞에서 보지만, 그 본질을 깊게 파고들지 못하는 경우를 겪을 수 있습니다.

이런 피상적 사고는 단순히 개인의 능력 부족이 아닙니다.
대부분은 정보 부족이나 사고의 습관화라는, 누구나 빠질 수 있는 흐름 때문입니다.

결국 문제를 진짜로 해결하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사고를 확장하는 방법' 을 배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때문에 이번 글에서는

  • 왜 우리는 문제를 깊게 파고들지 못하는지
  • 사고를 확장하려면 어떤 훈련이 필요한지

를 함께 살펴보려 합니다.

🚨 피상적 사고의 원인

1. 정보나 관점이 부족해서 ‘생각을 멈춘 상태’

처음 문제를 마주했을 때,
우리는 자신이 알고 있는 정보와 경험 안에서 빠르게 판단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복잡합니다.
눈앞에 드러난 현상만으로는 문제의 전모를 파악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도 새로운 관점이나 추가 정보를 확보하지 않으면,
생각은 자연스럽게 "여기까지가 한계" 라고 스스로 멈춰버립니다.

결국 우리는 '알고 있는 만큼만' 사고하고,
그 바깥으로 확장하지 못하게 됩니다.

2. 생각하는 방법 자체가 ‘넓거나 깊지 않은 루틴’으로 굳어져 있음

또 다른 이유는
생각하는 패턴 자체가 '얕게 멈추는' 습관으로 굳어졌기 때문입니다.

문제를 보면 당장의 현상만 처리하고,
"왜 이런 구조가 생겼을까?", "이 시스템을 만든 조직 문화는 무엇일까?" 같은 질문은 스스로 던지지 않습니다.

결국, 깊은 사고는 의식적인 노력 없이는 자동으로 생기지 않습니다.
우리의 사고가 고착화되지 않기 위해서는 생각을 의도적으로 확장하고,
"표면 → 구조 → 원인 → 철학"까지 이어지는 깊은 레이어를 훈련해야 합니다.

✅ 사고 확장하기

문제를 깊게 이해하는 능력은 타고나는 것이 아닙니다.
의식적인 연습과 작은 습관의 반복을 통해 누구나 키워갈 수 있습니다.

1. 다양한 관점을 주입하는 습관 들이기

혼자서 생각하다보면 내가 알고 있는 만큼만 생각 할 수 있기 때문에 한정적이고 고착화되기 쉽습니다.
따라서 의도적으로 다른 사람의 관점을 받아들이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 팀 동료에게 "왜 이런 일이 생겼다고 생각해?" 질문하기
  • 다른 부서, 다른 직무 사람들과 이야기 나누기
  • 과거 유사한 사례를 찾아보고, 그때와 이번 문제의 차이 분석하기

핵심은 내 사고의 프레임을 깨고,
"내가 몰랐던 시야" 를 받아들이려는 태도입니다.

2. 생각을 단계별로 깊게 내려가는 연습하기

문제를 다룰 때, 한 번에 깊이 들어가는 것은 어렵습니다.
때문에 층층이 생각을 나누는 연습을 통해 사고를 점진적으로 깊게 만들 수 있습니다.

  • 이 현상 자체는 무엇인가?
  • 이 현상이 나타난 구조는 무엇인가?
  • 이 구조가 생긴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이런 레이어를 따라가다 보면 자연스럽게 생각의 깊이가 달라집니다.

3. ‘구조’를 보는 훈련하기

표면적 사건만 보지 말고,
그 사건을 만든 흐름이나 구조를 찾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 요구사항 변경이 잦다 → '요구사항 명확화 프로세스'가 부실한가?
  • 운영환경 버그가 반복된다 → '테스트 설계'에 구조적인 문제가 있는가?
  • 일정이 자주 밀린다 → '의사결정 체계'나 '우선순위 설정'이 어설픈가?

현상이 아니라, 현상을 만든 시스템을 보는 눈을 키워야 합니다.

마치며

사고를 확장하려면 타인의 관점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질문을 통해 사고를 단계별로 깊게 파고들고,
표면 아래 숨겨진 구조를 읽어내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문제를 보는 것과 문제를 파고드는 것은 다릅니다.
파고들기 위해서는 ‘정보’와 ‘관점’을 확장하고, ‘생각하는 방법’ 자체를 조금씩 업그레이드해야 합니다.

깊게 생각하는 것은 선택이 아니라,
더 나은 문제 해결을 위한 필수 능력입니다.

profile
backend 개발자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