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프로젝트에서 백엔드를 맡아 API 서버 개발, 토큰 발행 및 전송 기능을 구현했다. 팀원이 총 4명이라 프론트 2명, 백 2명으로 역할을 분담했었는데 프론트의 분량이 많아 혼자서 백엔드 작업을 하게 됐다. Feeling 이번 프로젝트 기간은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REST API 대신 GraphQL을 사용했다. REST API를 사용했을 때는 백엔드의 입장에서 API 문서를 관리하기도 번거로웠고, 클라이언트 쪽에서 필요한 데이터가 변경되면 API를 수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부트캠프 2차 프로젝트로 인센티브 기반 커뮤니티 앱 제작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유저들이 글을 작성하면 토큰을 받고, 그 토큰으로 다른 사용자가 쓴 글에 좋아요를 눌러 토큰을 전송할 수 있다.
프로젝트 기간 : 2022. 06. 09 ~ 2022. 06. 17 최종 발표 : 2022. 06. 17 기술 스택 : Javascript Node.js Express.js MySQL Github Repository: https://github.com/haej
이번 프로젝트에서 마이페이지 화면 구현,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NFT 목록, 상세정보 조회 기능을 개발하였다.
Home, MyPage에서 사용할 NFT 목록 조회, NFT 상세 정보 조회 기능을 개발했다.
BEB 1차 프로젝트 주제가 NFT거래 플랫폼인 오픈씨(https://opensea.io/)의 클론 코딩으로 정해졌다.팀 명으로 언더더씨, 김씨, 어벤져씨 등이 있었으나 시냅스에서 착안하여 씨냅스로 정해졌다.
ERC-721은 대체불가토큰(Non Fungible Token) NFT의 표준안이다. Truffle은 이더리움 기반 dApp을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레임워크이다. 블록체인에서 smart contract를 컴파일하고 배포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니모닉(Mnemonic)은 암호화폐 지갑을 복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랜덤 단어 12 개이다. 개인 키가 사람이 기억하기엔 너무 복잡하게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이를 쉽게 입력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처음에는 이번에 프로젝트의 요구사항이 단순하여 사용 경험이 적은 MongoDB를 사용해볼까 했다. 하지만 AWS에 올리기까지 해보는 걸 목표로 하여 MySQL을 선택했다.
발사믹 스튜디오(https://balsamiq.com/)를 사용하여 웹페이지의 아웃라인을 디자인하였다.
부트캠프에 참여하면서 배운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기술을 복습하고 깊게 공부하기 위해 개인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레시피yam!은 적은 재료로 쉽게 만드는 레시피를 공유하는 웹사이트이다.
간단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롭스텐 네트워크에 배포하고 발행하려 하는데 status가 indexing에서 멈추고 계속 로딩중에서 멈춰있다.
유저가 클라이언트에서 로그아웃 버튼을 클릭하면 /users/signout 로 GET 리퀘스트가 날아가고, 서버에서는 쿠키에 저장한 토큰을 무효화 한 뒤 205 코드와 함께 ok 메시지를 날려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