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를 주고 받는 양식을 정의한 통신규약
중 하나
통신규약이란 컴퓨터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정해둔 약속
http라는 통신규약을 이용하여 서버나 클라이언트(브라우저)끼리 의사 소통을 함
의사 표현의 수단: (현실 세상) 말 ↔ (디지털 세상) 네트워크
의사 표현의 방법: (현실 세상) 언어 ↔ (디지털 세상) 통신 규약
http에는 request(요구), response(반환)라는 개념이 존재
개발자 도구 > 네트워크 탭
Preview or Response
데이터가 어떤 내용이 있는지를 확인(priview는 정렬된 형태)
서버에서 브라우저로 반환해준 웹 페이지를 그려주기 위한 데이터
Headers
-> General
데이터가 어떤 내용으로 전달되었고, 어디서 전달되었고,
상태가 어떤 거고, 어떤 메서드로 호출했는지에 대한 정보
즉, 브라우저
에서 서버
로 보낸 request 데이터
1) request URL
ssl.pstatic과 같은 url로 요청
2) method
GET 메서드를 통해 요청
3) status Code
요청한 데이터가 서버에서 어떤 status code로 전달됐는지 확인(성공했다면 200번의 status를 가짐)
-> Request Headers
브라우저
에서 서버
로 보낸 Request 데이터
-> Response Headers
응답받은 헤더에 대한 정보(서버
-> 브라우저
로 전송한 정보)
서버가 웹페이지 데이터와 함께 보낸 추가 데이터
1) accept-control-allow-headers, methods, origin
2) content-type, length
3) date
1) Method
GET(요청), POST(게시) ...
2) Header
3) Payload
실질적인 데이터
웹 서버란?
인터넷을 통해 HTTP를 이용하여 웹상에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응답해주는 통신을 하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
웹 서버의 기본 동작 원리
1) 브라우저를 통해 HTTP request로 웹사이트를 웹서버에 요청
2) 웹서버는 요청을 승인하고 HTTP response를 통해 웹사이트 데이터를 브라우저에 전송
3) 브라우저는 서버에서 받아온 데이터를 이용해 웹사이트를 브라우저에 그려냄
+기본적으로 브라우저가 웹서버에 요청을 할 때 항상 GET method로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