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프로파일을 설정하는 겸 로깅설정도 해주었다.윗부분에 이것저것 설정해 봤지만 결국 안돼서 굉장히 간단한 코드로 바뀌었고 맨아래쪽에 최종코드를 첨부했다.
매번 주석처리로 환경마다 바꿨던 설정을 SpringProfile로 배포환경별로 분리해보자
카카오SDK키값, 서버주소를 숨기고 retrofit 주소값을 개발(로컬)서버와 배포서버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재설정한다.
“test the program before you write it!” - Kent Beck테스트코드를 먼저 만들고, 실제 프로덕션 코드를 나중에 만드는 개발방법설계 → 테스트(코드작성) → 설계수정(반복) → 개발(코드작성).cf 기존 설계 → 개발(코드작성) → 테
Micro Service Architecture→ 작은단위의 서비스로 구동되도록 구성하고 관계를 정의하는 아키텍쳐복잡성이 낮다 서비스의 모듈화 → 유지보수가 쉽고 개발서비스의 개발이 빠르다독립적인 배포, 수정이 용이개별 scale-out 가능scale out : 서버
JCF(Java Collections Framework) :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구조와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구조화하여 클래스로 구현해 놓은 것
어떤건 api고 어떤건 sdk, 나는 어떤걸 써야할까? REST API는 또 뭘까? 여태 대충 되는 걸 쓰고 넘어갔던 것을 자세히 알아보자!
안드로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스프링부트를 사용하면서 아직도 gradle이 뭔지 모르는 나를 보며 이 정리가 필요할 것 같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