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사 후 1년은 책임감을 가지고 다양한 일을 경험하고 성장하고, 5년 뒤에는 주인의식을 가지고 진정성 있게 프로젝트에서 협력하여 10년 뒤, 마침내 더 나은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데이터 수집, 정제 및 분석을 통해 인사이트를 전달하여 비즈니스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사람이 될 것입니다.
저는 데이터 분석을 사전적 의미처럼 과거의 패턴을 분석하여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도구라고 정의하고 싶습니다. 왜냐하면 데이터 분석의 가장 본질적인 목적은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예외를 제외한 대부분의 미래는 과거의 패턴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하여 데이터 분석으로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데이터 분석은 과거의 패턴을 분석하여 미래를 예측하는 도구라고 생각합니다.
파이썬? 데이터 전처리, 시각화에 사용
‘데이터베이스 실무’ 수업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관심이 실질적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일을 해보고 싶다는 생각으로 이어졌습니다. 이를 위한 빅데이터 전문교육 수료 및 대회 참가, 교내 데이터 분석 동아리, AI회사에서 실무 경험을 하며, 데이터는 모든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다양한 분야에서의 데이터 분석은 저에게 가장 매력적인 분야로 다가왔습니다.
저의 장점은 협력적인 자세입니다. 대학생 봉사단으로 활동하며 해외 봉사활동에서 진행할 공연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 협력한 경험이 있습니다.
준비 기간 동안 봉사단원들과 부족한 부분을 서로 피드백하고, 모두 지친 상황 속에서 사기를 진작시켰습니다.
저의 단점은 욕심이 많습니다. 학업과 동아리, 자격증 준비를 병행하여 단기간에 처리하려는 의욕 때문에 자격증 시험에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한 적이 있습니다.
이를 계기로 해야할 일들을 우선순위를 정하여 정리하는 것을 습관화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