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타입, void타입

ha0peno·2022년 12월 31일
0

typescript

목록 보기
3/10

1. 함수에 타입 지정하기

  • function 함수(x :파라미터 타입) :리턴값 타입 {}
  • 타입지정된 파라미터는 필수 파라미터가 된다. (안넘겨주면 에러발생)
  • 파라미터가 옵션일 경우 function 함수(x? :number) 로 지정하면 된다.
    - function 함수(x :number | undefined) 와 같음

rest 파라미터 타입지정

function 함수(...a :number[]) {
	console.log(a)
}
함수(1,2,3,4,5);

destructuring 타입지정

type Obj = {student: boolean, age: number}
let 오브젝트 :Obj = {student: true, age: 20}
function 함수({student, age}:Obj){
	console.log(student, age);
}

함수(오브젝트)

2. void 타입

  • 값을 리턴하고 싶지 않을 경우 리턴타입을 지정하지 않아도되지만, 엄격히 체크하고 싶을 경우 void타입을 지정하면 에러로 잡아준다. (함수에 return 방지장치를 주고 싶을 때)
  • function 함수(x :파라미터 타입) :void {}
profile
고양이털 묻은 손으로 기록하는 개발일지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