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 클린 아키텍처

sw·2022년 1월 24일
0

1. 클린 아키텍처

로버트 C. 마틴이 만든 소프트웨어 관심사를 계층별로 분리하는 소프트웨어 디자인 철학.
Use Case를 중심으로 설계..!!!!

  • 내부원에 있는 것은 정책이고 바깥으로 갈수록 정책을 수행하는 메커니즘으로 구성된다.

주요 원칙

  1. 의존성이 외부 -> 내부 방향으로 존재한다.
    ( 내부 계층은 외부 계층을 알 수 없다. )

  2. 외부 계층에 존재하는 변수, 함수 및 클래스는 내부에서 사용할 수 없다.

  3. 데이터 형식도 Layer 간에 별도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장점

  1. 코드 재사용성이 용이해진다.
  2. 유닛 테스트가 쉬워진다.

구성 요소

  1. Entities
    -애플리케이션에서 핵심적인 기능인 업무규칙(비즈니스 규칙)을 캡슐화한다.
  1. Use Cases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비즈니스 규칙을 포함한다.
    -Entity 내부의 핵심 업무 규칙을 어떻게, 언제 호출할지를 명시하는 규칙을 담는다.
  1. Interface Adapters
    -Entites나 Use Cases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가공하는 Layer다.
    -데이터를 Layer에 맞는 형식으로 변환한다.
    -Presenter, View, Viewmodel, Controller가 여기에 속한다.
    -비즈니스 로직과 프레임워크 코드를 연결

  2. Frameworks와 Drivers
    -Activity, Fragment, Intent 전달, 데이터베이스, Contents Provider, Retrofit과 같은 네트워크 관련된 프레임워크 코드가 포함된다.


2. Android에서의 클린 아키텍처

Presentation Layer

  • 화면 조작 or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관심사를 모아놓은 Layer.
  • UI (activity, fragment), Controller(Presenter, ViewModel)를 포함한다.
  • Controller는 1개 이상의 Use case를 실행한다.
  • UI는 각각의 Controller에 의해 조작된다.
  • Domain Layer에 의존성을 가진다.

Domain Layer

  • 비즈니스 로직을 포함한다.

  • 가장 안쪽의 Layer로 어떤 Layer에 대해서도 의존성을 가지지 않는다. 오직 언어(Kotlin)에 대해서만 의존성을 가진다.

  • Entity, Use case, Repository Interface를 포함한다.

  • Use case는 data와 1개 이상의 Repository Interface를 받아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한다.
    - Use Case는 행동들의 최소 단위이다.
    - Use Case는 보통 1개의 행동을 담당하며 이름만 보고도 무슨 기능을 하는지 짐작 가능해야 한다.

    Domain Layer가 Data Layer에 대해 의존성을 가지지 않기 위해선?

    의존성 역전 법칙을 이용해 interface를 사용한 추상화를 적용한다.
    Domain Layer는 Data Layer에 대한 의존성 회피를 위해 Repository를 추상화시켜 사용하고 있다.

Data Layer

  • Repository Implementation, 1개 이상의 Data Source, Mapper(Mapper 대신 Interface 구현으로 대체 가능), Data Model을 포함한다.
  • Repository는 다른 Data Source들을 결합 / 조정한다.
  • Domain Layer에 의존성을 가진다.

    Data Source와 DataSourceImpl

    Data Soruce 역시 의존성 역전 법칙을 적용해 추상화된다. Repository가 Data Source에 대해 의존성을 가지지 않게 한다. 따라서 Data Source가 변경되더라도 Repository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profile
끄적끄적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