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공식문서] 조건부 렌더링 (feat. false 조건과 falsy 표현식)

Gyuwon Lee·2022년 6월 9일
0
post-thumbnail

React 공식 튜토리얼을 바탕으로, 필요한 개념을 보충하여 학습한 기록입니다.

1. 조건에 따라 렌더링하기

당연하게도, UI를 구성하다 보면 특정 조건에 따라 각기 다른 컴포넌트가 보여져야 하거나, 어떤 컴포넌트를 감춰야 하는 등 조건에 맞게 요소들이 렌더링되어야 하는 상황을 맞닥뜨릴 것이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경우다.

function UserGreeting(props) {
  return <h1>Welcome back!</h1>;
}

function GuestGreeting(props) {
  return <h1>Please sign up.</h1>;
}

현재 접속해있는 사용자가 기존 회원(User)인지, 신규 이용자(Guest)인지를 구별해서 각기 다른 텍스트를 띄우려고 한다. 그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당연하게도 (이번 글은 직관적으로 당연한 이야기가 좀 많다) JavaScript나 여느 언어의 조건 처리와 동일하게, if조건부 연산자 (삼항 연산자), 혹은 논리 && 연산자 등을 사용하여 조건을 나타내면 된다.

function Greeting(props) {
  const isLoggedIn = props.isLoggedIn;
  if (isLoggedIn) {
    return <UserGreeting />;
  }
  return <GuestGreeting />;
}

ReactDOM.render(
  // Try changing to isLoggedIn={true}:
  <Greeting isLoggedIn={false} />,
  document.getElementById('root')
);

이런 식이다. 로그인 여부를 확인할 플래그 isLoggedinprops 로 받아 상수에 저장하고, if 조건문에서 플래그의 값에 따라 각기 다른 엘리먼트를 리턴하도록 했다.

다 이렇게 하는 것 아닌가, 특별할 거 없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면 그게 맞다.


📌 리액트에서 조금 더 간편하게 조건부 렌더링하기

위의 경우보다 코드가 조금 더 길어진 상황을 생각해 보자.

function LoginButton(props) {
  return (
    <button onClick={props.onClick}>
      Login
    </button>
  );
}

function LogoutButton(props) {
  return (
    <button onClick={props.onClick}>
      Logout
    </button>
  );
}

이번에는 위에서 만든 <Greeting /> 과 함께 조건에 따라 <LoginButton /> 이나 <LogoutButton /> 중 하나를 렌더링하는 유상태 컴포넌트 LoginControl 을 만들 것이다.

1) 엘리먼트 변수

우선 아래 코드의 render() 부분부터 보자.

class LoginControl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 아래의 button 변수에 저장될 컴포넌트가 이벤트 핸들링을 위해 콜백 함수를 사용한다.
    // () 없이 this.{콜백함수명} 으로 사용하는 경우 메소드가 객체에 바인딩되지 않으므로
    // 명시적으로 바인딩해준다.
    this.handleLoginClick = this.handleLoginClick.bind(this);
    this.handleLogoutClick = this.handleLogoutClick.bind(this);
    this.state = {isLoggedIn: false};
  }

  handleLoginClick() {
    // 바인딩하지 않았다면, 콜백함수가 호출된 시점에서는 아래의 this가 undefined 상태가 된다.
    this.setState({isLoggedIn: true});
  }

  handleLogoutClick() {
    this.setState({isLoggedIn: false});
  }

  render() {
    const isLoggedIn = this.state.isLoggedIn;
    let button;
    if (isLoggedIn) {
      button = <LogoutButton onClick={this.handleLogoutClick} />;
    } else {
      button = <LoginButton onClick={this.handleLoginClick} />;
    }

    return (
      <div>
        <Greeting isLoggedIn={isLoggedIn} />
        {button}
      </div>
    );
  }
}

ReactDOM.render(
  <LoginControl />,
  document.getElementById('root')
);
  • 조건에 따라 button 변수에 각기 다른 컴포넌트가 저장될 것이다.
    • 물론 button 변수에 컴포넌트를 굳이 저장하지 않아도 된다.
    • 하지만 저장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조건에 따라 return 문이 두 개가 될 것이고, <Greeting /> 컴포넌트 역시 각 return 문 안에 한 번씩, 아래와 같이 총 두 번 적어주어야 한다:
render() {
    const isLoggedIn = this.state.isLoggedIn;
    if (isLoggedIn) {
      return (
        <div>
          <Greeting isLoggedIn={isLoggedIn} />
          <LogoutButton onClick={this.handleLogoutClick} />
        </div>
      );
    } else {
      return (
        <div>
          <Greeting isLoggedIn={isLoggedIn} />
          <LoginButton onClick={this.handleLoginClick} />
        </div>
      );
    }
}
  • render() 함수의 구조와 간결성을 따져봤을 때, button 변수를 활용함으로써 훨씬 더 명확하고 관리가 용이한 코드로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JSX 표현식을 활용하기

위처럼 변수를 선언하고 if 를 사용해서 조건부로 렌더링 하는 것도 충분히 좋은 방법이지만, 더 짧은 구문을 사용하고 싶을 때가 있을 수 있다. 이에 공식문서에는 여러 조건을 JSX 안에서 인라인(inline)으로 처리할 방법 몇 가지가 소개되어 있다.

(1) 논리 && 연산자로 if 를 인라인으로 표현하기 (✋ falsy 값에 주의할 것)

JSX 안에는 중괄호를 이용해서 표현식을 포함 할 수 있으므로, 그 안에 자바스크립트의 논리 연산자 && 를 사용하면 쉽게 엘리먼트를 조건부로 넣을 수 있다.

function Mailbox(props) {
  const unreadMessages = props.unreadMessages;
  return (
    <div>
      <h1>Hello!</h1>
      {unreadMessages.length > 0 &&
        <h2>
          You have {unreadMessages.length} unread messages.
        </h2>
      }
    </div>
  );
}

const messages = ['React', 'Re: React', 'Re:Re: React'];
ReactDOM.render(
  <Mailbox unreadMessages={messages} />,
  document.getElementById('root')
);

자바스크립트에서 true && expression(표현식) 은 항상 표현식으로 평가되고 false && expression 은 항상 false로 평가된다.

따라서 && 뒤의 엘리먼트는 조건이 true일때만 출력된다. 조건이 false 라면 리액트는 무시하고 해당 중괄호를 건너뛴다.

이 때 유의할 점이 "조건false 일 때" 만 리액트가 그 중괄호를 건너뛴다는 점이다. 이건 falsy 표현식 과는 구분되어야 한다.

자바스크립트에서 boolean 타입에 해당하는 값은 true, false 두 가지 밖에 없다. 이 값들을 '진리값'이라고 부른다.

다만 이 boolean 타입의 값이 와야 하는 자리에 다른 타입의 값이 와도 true 또는 false취급 되어 에러가 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값들을 truthy 또는 falsy 값이라고 한다.

  • false
  • null
  • undefined
  • 0, -0, 0n
  • NaN
  • ''

falsy 값은 위의 8가지가 전부이며, 이를 제외한 다른 모든 값들은 truthy 값이다.

&& 연산자에서 첫 번째 객체가 falsy 값이라면, 해당 객체를 반환한다.

false && "dog"
// ↪ false

0 && "dog"
// ↪ 0

그말인즉슨, 0과 같은 falsy 값들은 리액트가 무시하지 않고 렌더링 한다는 점이다. 여전히 && 뒤에 있는 표현식은 건너뛰지만 falsy 표현식은 반환된다. 아래 예시에서, <div>0</div>render 메서드에서 반환된다.

render() {
  const count = 0;
  return (
    <div>
      {count && <h1>Messages: {count}</h1>}
    </div>
  );
}

왜냐하면 count의 값은 falsy 값인 0 으로, count === false 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를 고치려면 && 앞의 표현식이 언제나 진리값이 되도록 해야 한다.

render() {
  const count = 0;
  return (
    <div>
      {count > 0 && <h1>Messages: {count}</h1>}
    </div>
  );
}

위와 같이 고치면 false 가 반환되어 해당 중괄호가 아예 렌더링되지 않는다.

(2) 조건부 연산자로 if - else 구문 인라인으로 표현하기

삼항 조건 연산자 condition ? true : false 를 사용할 수도 있다.

render() {
  const isLoggedIn = this.state.isLoggedIn;
  return (
    <div>
      {isLoggedIn
        ? <LogoutButton onClick={this.handleLogoutClick} />
        : <LoginButton onClick={this.handleLoginClick} />
      }
    </div>
  );
}

이 방식은 상황에 따라 코드가 보다 간결해질수도, 반대로 가독성이 오히려 떨어질 수도 있다는 점을 유의하자.

조건부 연산자를 포함하여 위에서 본 방법들을 모두 시도해보았음에도 조건이 너무 복잡하고 코드의 가독성이 여전히 낮다면, 컴포넌트를 분리해야 할 때가 아닌지도 생각해 보자.


3) 컴포넌트를 숨기기 (렌더링되지 않게 하기)

렌더링 결과를 출력하는 대신 null 을 반환하면, 컴포넌트 자체를 숨겨 화면에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공식 문서에서는 부모 컴포넌트로부터 받은 props 값에 의해 자식 컴포넌트의 렌더링 여부가 결정될 때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function WarningBanner(props) {
  if (!props.warn) {
    return null;
  }

  return (
    <div className="warning">
      Warning!
    </div>
  );
}

class Page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this.state = {showWarning: true};
    this.handleToggleClick = this.handleToggleClick.bind(this);
  }

  handleToggleClick() {
    this.setState(state => ({
      showWarning: !state.showWarning
    }));
  }

  render() {
    return (
      <div>
        <WarningBanner warn={this.state.showWarning} />
        <button onClick={this.handleToggleClick}>
          {this.state.showWarning ? 'Hide' : 'Show'}
        </button>
      </div>
    );
  }
}

ReactDOM.render(
  <Page />,
  document.getElementById('root')
);
  • 부모 컴포넌트로부터 넘겨받은 props.warn 속성의 값이 false 라면 경고 배너(WarningBanner) 가 표시되지 않도록 했다.
    • 어떤 엘리먼트도 반환하지 않고 null 값을 반환함으로써 컴포넌트는 렌더링되지 않는다. 즉 화면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는다.
  • 다만 null 을 반환한 것 역시 컴포넌트의 변화 로 간주된다. 즉 생명주기 메서드 호출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컴포넌트의 render 메서드로부터 null을 반환하는 것은 생명주기 메서드 호출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그 예로 componentDidUpdate 는 계속해서 호출된다.
profile
하루가 모여 역사가 된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