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페이지 - 오늘의집처럼 섹션 나눠서 페이지 구성
북커톡 내용 - 피그마 형식으로 진행
로그인페이지 - 피그마 내의 로그인 컨셉 이미지 사진 자료 확인
왼쪽 / 오른쪽 라인 중 선택
크게 베스트셀러 / 신작 / 네이버 API / 스페셜로 구현
베스트셀러 - 가장 상단에서 다른 아이템보다 위 아래를 구분지어서 크게 구현
설문조사 - 다양한 설문지를 링크를 통해서 들어갈 수 있게 구현할 예정
들어갔을 때 질문 형식은 아키네이터 같이 하나의 질문에 5지선다 같은 느낌으로 진행
UI적 요소는 건우님(디자이너)께 부탁드린 상황
앞으로 개발자는 개발영역에 올인 / 디자이너는 UI영역에 올인
내일 코드구현하면서 나온 결과물에 대한 UI를 디자이너분께 설명드려서 UI 제안서 받기
중고거래 대댓글 vs CRUD 커뮤니티 게시판에 대댓글
1번질문 : 우리 프로젝트 기준 툴킷은 데브 툴 덕분에 디버깅이 용이한 장점이 있는데 리코일은 그 부분이 취약하다 보니 만약 리코일을 우리 프로젝트에 적용했을 때 영향을 많이 끼칠까?
-> 개발자 자체가 전역상태 데이터로 어떤걸 보내줄지 명확히 입력하면 해결 될 문제이다.
2번질문 :리엑트 쿼리나 리덕스 툴킷의 중요성?
=> 리엑트쿼리나 리덕스 툴킷 둘 다 배워야하는 기술은 맞음
우리가 잘 사용할 수 있는 걸 사용해보는게 좋을 것 같다.
내가 왜 이걸 선택했는지. 어떻게 활용했는지를 잘 설명하는게 중요하다
3번질문 : 리엑트 쿼리를 선택하지 않았다는 가정하에 비동기 처리로 리코일 사용한다면 리코일과 툴킷을 같이 사용하는 방향 ? Or 리코일로 전역관리?
-> 리코일이 나온지 얼마 안 돼서 많이 사용하는 건 맞지만 비동기 처리에서는 굳이 사용 안하는 경우가 많음
그래서 사람들이 리엑트 쿼리랑 같이 사용함
쿼리 선택 안할때 --- 툴킷에 리덕스 관련 라이브러리
쿼리 선택하면 --- 비동기 처리는 쿼리 + 전역 관리 리코일
4번 질문 : 현업에서는 어떤걸 많이 사용하나?
대기업은 리덕스 / 리덕스 툴킷 많이 씀
그러나 회사 by 회사여서 확실한 답을 줄 수는 없음
나연님 질문
전 조에서 수파베이스 이용해서 프로젝트를 했을 떄 리얼타임을 이용해서 실시간 알람을 할 수 있던데 , 그것도 웹소켓을 이용해야하는지?
-> 웹소켓을 사용하는게 아니면 데이터베이스에 실시간으로 올리면서 하는 것일듯
실시간으로 하는 방법은 좋은 방법은 아니고, 웹소켓을 이용하는게 더 좋은 방법임
시도 자체는 좋은 경험이라 해보는게 좋을듯!
민규 : 내일까지 필수 기능 사항 완료 가능성 0 or 100%
나연: 내일까지 필수 기능 사항 완료 가능성 95%
주원 : 내일까지 필수 기능 사항 완료 가능성 70%
병택 : 갓병택님은 이미 기본적인 기능은 모두 완료하셨습니다.
지예: 백엔드와의 씨름 중이신..
설문조사 페이지를 만들어야 하는데, 질문지 페이지와 답변 즉, 추천도서 페이지를 컴포넌트로 분리하였고, 유저의 답변에 따라 추천 도서가 바뀌는건 아직 어려워서 구현을 못하고 있다.. 그래도 한번만 구현 성공하면 무조건 다 만들 수 있다는 확신이 있어서 최대한 열심히 해보고 있다..! ㅎㅇ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