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최종 프로젝트[booker] - 4일차(기획 마무리 & 코드 구현)

규갓 God Gyu·2024년 1월 9일
0

프로젝트

목록 보기
38/81

오전 회의 내용

  • 메인페이지 - 오늘의집처럼 섹션 나눠서 페이지 구성

  • 북커톡 내용 - 피그마 형식으로 진행

  • 로그인페이지 - 피그마 내의 로그인 컨셉 이미지 사진 자료 확인

왼쪽 / 오른쪽 라인 중 선택

  • 책 API - 기본 UI형식은 왓차페디아 처럼

크게 베스트셀러 / 신작 / 네이버 API / 스페셜로 구현

베스트셀러 - 가장 상단에서 다른 아이템보다 위 아래를 구분지어서 크게 구현

  • 설문조사 - 다양한 설문지를 링크를 통해서 들어갈 수 있게 구현할 예정

    들어갔을 때 질문 형식은 아키네이터 같이 하나의 질문에 5지선다 같은 느낌으로 진행

  • UI적 요소는 건우님(디자이너)께 부탁드린 상황
    앞으로 개발자는 개발영역에 올인 / 디자이너는 UI영역에 올인
    내일 코드구현하면서 나온 결과물에 대한 UI를 디자이너분께 설명드려서 UI 제안서 받기

오후 회의 내용

내일 오전 안건

중고거래 대댓글 vs CRUD 커뮤니티 게시판에 대댓글

recoil / redux toolkit / query

1번질문 : 우리 프로젝트 기준 툴킷은 데브 툴 덕분에 디버깅이 용이한 장점이 있는데 리코일은 그 부분이 취약하다 보니 만약 리코일을 우리 프로젝트에 적용했을 때 영향을 많이 끼칠까?
-> 개발자 자체가 전역상태 데이터로 어떤걸 보내줄지 명확히 입력하면 해결 될 문제이다.

2번질문 :리엑트 쿼리나 리덕스 툴킷의 중요성?
=> 리엑트쿼리나 리덕스 툴킷 둘 다 배워야하는 기술은 맞음
우리가 잘 사용할 수 있는 걸 사용해보는게 좋을 것 같다.
내가 왜 이걸 선택했는지. 어떻게 활용했는지를 잘 설명하는게 중요하다

3번질문 : 리엑트 쿼리를 선택하지 않았다는 가정하에 비동기 처리로 리코일 사용한다면 리코일과 툴킷을 같이 사용하는 방향 ? Or 리코일로 전역관리?
-> 리코일이 나온지 얼마 안 돼서 많이 사용하는 건 맞지만 비동기 처리에서는 굳이 사용 안하는 경우가 많음
그래서 사람들이 리엑트 쿼리랑 같이 사용함
쿼리 선택 안할때 --- 툴킷에 리덕스 관련 라이브러리
쿼리 선택하면 --- 비동기 처리는 쿼리 + 전역 관리 리코일

4번 질문 : 현업에서는 어떤걸 많이 사용하나?
대기업은 리덕스 / 리덕스 툴킷 많이 씀
그러나 회사 by 회사여서 확실한 답을 줄 수는 없음

나연님 질문
전 조에서 수파베이스 이용해서 프로젝트를 했을 떄 리얼타임을 이용해서 실시간 알람을 할 수 있던데 , 그것도 웹소켓을 이용해야하는지?
-> 웹소켓을 사용하는게 아니면 데이터베이스에 실시간으로 올리면서 하는 것일듯
실시간으로 하는 방법은 좋은 방법은 아니고, 웹소켓을 이용하는게 더 좋은 방법임
시도 자체는 좋은 경험이라 해보는게 좋을듯!

목요일마다 기술 멘토링 노트 작성해서 진행상황 공유하기

필수기능 구현 상황

민규 : 내일까지 필수 기능 사항 완료 가능성 0 or 100%
나연: 내일까지 필수 기능 사항 완료 가능성 95%
주원 : 내일까지 필수 기능 사항 완료 가능성 70%
병택 : 갓병택님은 이미 기본적인 기능은 모두 완료하셨습니다.
지예: 백엔드와의 씨름 중이신..

오늘 한 일

설문조사 페이지를 만들어야 하는데, 질문지 페이지와 답변 즉, 추천도서 페이지를 컴포넌트로 분리하였고, 유저의 답변에 따라 추천 도서가 바뀌는건 아직 어려워서 구현을 못하고 있다.. 그래도 한번만 구현 성공하면 무조건 다 만들 수 있다는 확신이 있어서 최대한 열심히 해보고 있다..! ㅎㅇㅌ..!

profile
웹 개발자 되고 시포용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