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프로젝트 발표까지 완료 후 KPT
KPT 과정

figjam을 이용해 프로젝트 마무리의 시원 섭섭함을 꾸밈을 이용해 해소를 하고 KEEP, PROBLEM, TRY를 구분을 나누어서 각자 느꼇던 부분을 자유롭게 서술해 보았습니다.
KPT 내용
Keep
- SA와 와이어프레임(피그마)를 통해 전체적인 구조 시각화
- 매일 오전 진행상황 공유함으로써, 매일 해야할 일, 앞으로 남은 일 팀 전체적으로 상기시킨 점
- 발표를 딱 필요한 내용만 뽑아 진행한 점
- 문제 발생 시 다같이 힘을 합쳐 빠르게 해결하려한 점
- 확실한 역할 분담으로 프로젝트 진행속도 가속화한 점
- 메인컬러, CI, Beat, Beat Up 등 우리 서비스 만의 아이덴티티를 잘 살린 것
- 코드 컨벤션, Git Rules 덕분에 코드 정리가 용이했던 점
- 팀의 데드라인 설정을 명확히 정한 점
- 각자 맞은 역할 이행에 최선을 다한 점
- 막히는 부분이 있으면 너무 오래 끙끙 앓지 않고 빠르게 문제점 공유하려한 점
Problem
- 코드 작성 시 오류 해결하는 부분이 막혀서 너무 오랜 시간을 쏟은 점
- live share나 코드 공유 시 문제인 부분을 제대로 설명하기 어려운 점
- 공유되는 데이터 처리에 있어서 1차 처리가 되어야지만 다음 작업이 진행되서 딜레이가 발생한 점
- 데드라인이 제대로 안지켜져서 전체적인 작업 진행이 더뎌진 점
- 팀원 모두가 모르는 부분에 대해 제대로 물어보지 않은 점
- github 사용시 PR에서 많은 오류가 발생해서 해결에 오랜 시간이 걸렸던 점
- 버그를 많이 잡았음에도 계속 버그가 존재하는 점
- context, redux, firebase의 어려운 코드를 아직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 점
- 코드 최적화를 하지 못한 점
Try
- CRUD firebase 연동시 에러가 뜨거나 구현이 안되어 팀원에게 빠른 도움을 요청하여 해결
- 문제/에러 발견 시 고민하는 시간이 30~1시간을 넘기면 팀원 및 튜터님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해결
- useCallback, useMemo, memo 등 캐싱할 데이터를 잘 고려해서 사용
- 개인적인 깃 공부 시도할 것 깃허브 강의자료
-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은게 당연하나, 끝없이 탐구하고 도전해볼 것
- 코드 리뷰나 다른 사람의 코드를 보고 내것이 되도록 노력할 것
- live share, 코드 공유 시 빠르게 문제인 부분을 알려줄 수 있도록 상세한 설명을 하려 노력할 것
- 중복되는 코드들은 모듈화시켜서 간소화시킴
- 초기 기획 단계에서 방향성 제대로 정하고 소통 후 기획 확립을 하여 높은 완성도와 빠른 결과물을 만들었음
- 목업 데이터에 대한 세팅을 더욱 상세하게 의논하여 데이터 흐름을 명확하게 결정하고 진행하였음
- commit을 자주 하여 PR이나 merge시 충돌방지 및 충돌시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 노력할 것
마지막 회고
미흡하지만 진호님, 하민님, 창근님, 소이님 전부 군말없이 말씀 잘 경청해주시고 따라주셔서 너무 감사하였고,
프로젝트 제작을 위한 실력이 좀 더 좋았다면 많은 부분에서 부담을 덜어드리고 싶었으나, 제 맡은 파트 하나 감당하기가 쉽지가 않다보니 많이 죄송한 마음뿐입니다 ㅠ
다들 이 부트캠프가 종료되면 성공적으로 취업하셔서 행복한 개발자 생활 즐기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날까지 지치지말고 화이팅!!
이상 스파르타 코딩클럽 프론트엔드 B팀 7ㅏ보조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