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N 시즌 5 강의 후기(1)

피터·2022년 11월 10일
0

1강 조직문화 관점에서 보는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해당 강의를 수강하게 된 이유

처음에는 개인의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개선을 하기 위해서 신청하였다. 스타트업에서 근무를 하고 있으니 적은 인원으로 최대한의 효율을 끌어내야 하고, 적은 인원이기 때문에 개발 업무 외에도 많은 분야(기획, 디자인, QA, CS 등)의 직군들과 대화하고 업무를 처리해야 할 경우가 많다. 그래서 커뮤니케이션에 대해서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스킬 및 개념을 익히고 싶어서 신청하게 되었다.

그럼 원하는 강의었는가?

처음에 생각했던 강의는 아니었다. 다만 그 이상의 것이었다. 개인이 아닌 한 조직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내용이었고 머리를 깨우는 강의었다. 이런 식의 커뮤니케이션이 있고 우리 조직에서 부족한 점과 현재 잘 진행되고 있는 점에 대해서, 그리고 그동안 가려웠지만 그 원인을 파악하지 못했던 것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는 강의었고 늦은 시간까지 진행되었지만 얻은 것이 많은 강의였다.

조직문화란 무엇일까?

조직문화에 대한 오해

좋은 조직 문화란 무엇일까? 탁월한 복지를 의미하는가? 아니다.

조직문화란 다음과 같다고 설명한다.
1. 공유된 가치와 규범
- 구성원들끼리 가치, 규범, 행동 스타일
- 한 부족의 세계관 = 정신 소프트웨어
2. 조직문화는 한 부족의 세계관
- 문제를 처리하는 방법을 어떻게 할 것인가?
- 책임 추궁 vs 원인 파악 및 해결
+ 책임자를 찾아서 해당 책임에 대한 추궁을 할 것이냐.
- 환경에서 문제를 찾을 것이냐.
- 조직의 자원에 대해서 어떻게 바라보느냐
- 사람
- 성선설 vs 성악설
- 돈
- 시간
3. 조직문화와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의 관계
-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한 우리의 핵심가치, 협업 방식, 커뮤니케이션 방식 및 업무 프로세스를 의미
4. 다른 관점으로 바라봅시다.
- 자율적으로 일하고 주인의식을 가져라!
- 이것이 안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무엇이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는지 모르기 때문이다. 그 원인은 정보의 양과 수준이 다르기 때문이다. 주니어 입장에서는 시니어보단 업무에 대한 경험과 이해가 낮을 수 밖에 없다. 볼 수 없는 것들이 있기 때문에 그 한계가 있는 것이고 그로 인해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는 것을 몰라서 못하는 것이다.
+ 정보 공유의 차이
+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고민이라면 그 원인은 조직의 소통방식이 명확하지 않거나, 나와 fit이 맞지 않은 경우가 훨씬 많다.

동료의 성장을 돕는 커뮤니케이션

비즈니스란?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

커뮤니케이션이란?

말 그대로 소통이다.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이란?

고객의 문제를 풀기 위해, 서로 오해 없이 소통하는 것

→ 문제 해결이 핵심

함께 일하고 싶은 동료는 무엇일까?

좋은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 상대의 시간을 줄여줌
  • 상대의 문제 해결을 도와줌
  • 상대의 자기 효능감을 높여주는 것

커뮤니케이션은 노동이다

  • 완결적 커뮤니케이션
    • 서로 대화 시도
    • 서로의 이야기를 이해
    • 서로가 제대로 이해했는지 확인
    • 이해를 바탕으로 후속 액션 아이템 수행까지 마무리되면, ‘소통’ 완료
  • 의도에 대해서 (근거가 없더라도) 충분히 설명해줘라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기본 노하우

  1. 커뮤니케이션은 즉답이 원칙이다
  2. Task의 4가지 요소(KARD)를 포함해야 한다.(KPI, Action Item, R&R, Due Date)
  3. 두괄식으로 말하되 필요에 따라 [맥락, 요약, 내용, 참고자료] 더한다.
  4. 업무 현황은 누가 묻기 전에 수시로 공유한다.
  5. 조직 차원의 합의가 필요하다 : 업무 용역 통일, 피드백 원칙 세우기

회사의 성과는 예측 가능한 커뮤니케이션 패턴

예측 가능한 커뮤니케이션 패턴을 갖고 있다는 것은 서로 간의 약속이 잘 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 약속은 비효율을 제거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목표 달성에 더욱 빠르게 도달할 수 있다는 뜻이며 이는 바로 회사의 성과와 이어진다는 의미이다.

강의 후기

우선 다양한 조직문화에 대해서 조사하고 서적에 대한 지식들을 습득하고 싶다는 생각이 가장 먼저 들었다. 그리고 근거를 갖고 새로운 조직문화를 만들고 싶다는 목표가 생겼으며 앞으로의 강의가 기대된다.

profile
iOS 개발자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