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 주기로 끊임없이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내면서 그때그때 필요한 요구를 더하고 수정하며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적응형 개발 방법
자주자주 확인받고 adaptive
하게 바로바로 반영 (요구사항을 잘못 이해하지는 않았는지, 요구사항에 변경은 없는지 확인함)
스크럼 프레임워크
줄임말
애자일을 실천하는 가장 보편화된 방안
애자일 방법론의 개선 사이클을 어떻게
반복적으로 수행할 것인지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일하는 방식에 대한 프레임워크
총 5가지 이벤트를 팀이 수행할 것을 가이드함
스프린트, 스프린트 계획, 데일리 스크럼, 스프린트 리뷰, 스프린트 회고
이 중 일 단위
로 실행하는 이벤트로 제시된 것이 데일리 스크럼
애자일을 지향하면서 일을 하면 진행하는 일을 각기 다른 여러 주기의 사이클을 가지고 점검
데일리 스크럼은 하루 단위
의 점검 사이클 역할
팀이 가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팀원들의 정신적인 단결과 목표를 재확인
한 사람씩 이야기
어제부터 지금까지 무엇을 완료했는지
오늘은 어떤 일을 완료할 것인지
일을 진행하는 데 방해/저해가 되는 요소가 무엇인지
보드(백로그)에 있는 업무 이슈를 하나씩 보면서 관련된 사항을 이야기
진행 방식
주말 포함 매일 10시에 모여서 약 15분간 진행
각자 돌아가면서 어제 한 일, 오늘 할 일을 공유함
마지막으로 의논이 필요한 내용이나 해결해야 할 이슈에 대해 논의함
좋았던 점
다른 팀원
이 어떤 부분을 개발하고 있는지 숙지하게 됨
발생한 이슈에 대해 모든 팀원이 알게 되고 같이 고민
해볼 수 있음
오늘 할 일을 공유한 것이 일종의 약속으로 작용
해서 이를 끝마칠 수 있도록 더 노력하게 됨
데일리 스크럼을 통해 당일의 업무 목표를 재확인
하면서 하루를 시작할 수 있음
추가적으로, 개발한 기능 중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한 부분을 팀원들에게 공유
하는 시간을 가지기도 함 (PG 서버와 통신하는 과정, 스프링 시큐리티 인증 과정에 대해 공유 받았고, CD 파이프라인 처리 과정에 대해 공유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