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1: SW 테스팅의 기초] 4. 테스팅의 심리학

IMKUNYOUNG·2023년 11월 19일
0

ISTQB FL

목록 보기
4/5

1.5 테스팅의 심리학

  • 1.5.1 (K1): 테스팅의 성공에 영향을 주는 심리 요인을 식별할 수 있다.
  • 1.5.2 (K2): 테스트 활동에 필요한 사고방식과 개발 활동에 필요한 사고방식을 구별할 수 있다.

테스팅의 심리학

  • 테스팅으로 얻은 정보는 나쁜 소식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으며 테스트 대상 제품과 제작자에 대한 비판으로 오해받을 소지가 있음
    • 나쁜 소식을 전달하는 사람을 탓하는 것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기본 성향 중 하나
  • 확증 편향과 인지 편향으로 현재 가지고 있는 믿음과 맞지 않는 정보를 받아들이기 어려움
    • 테스팅을 파괴적인 활동으로 간주하는 사람들이 있으며, 이런 편견을 줄이기 위해 결함가 장애에 대한 정보는 건설적인 방법으로 전달할 필요가 있음
    •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긍정적인 관계 구축을 위해 좋은 대인 관계 기술 필요
  • 의사소통을 더 잘할 수 있는 방법
    • 다툼 보다는 협력으로 시작
      • 더 나은 품질의 시스템을 개발한다는 공통 목표를 모두 함께 인식
    • 테스팅의 이점을 강조
    • 테스트 결과와 기타 발견 사항을 중립적이면서 사실에 기반을 둔 방법으로 전달
      • 사람을 비판해서는 안됨
    • 상대방이 어떤 느낌을 받을지, 또 해당 정보에 대해 부정적으로 반응하는 이유가 뭔지를 이해하려고 노력
    • 상대방이 전달받은 내용을 이해했는지, 또 반대로 상대방이 하고자 하는 말을 제대로 이해했는지 확인
  • 올바른 테스트 목표 세트를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이 중요
    • 대부분의 사람은 자신의 일정과 행동을 팀, 관리자, 기타 이해관계자가 설정한 목표와 맞추려는 경향이 있음
  • 테스터도 개인의 성향은 최대한 배제하고 이런 목표와 부합하려고 하는 자세가 매우 중요

테스터와 개발자의 사고방식

개발자테스터
개발의 일차적인 목표는 제품을 설계하고 구축하는 것테스팅의 목적은 제품에 대한 validation과 varification, 릴리스 전 결함 발견 등 매우 다양함
성공적인 개발자는 해결책을 설계하고 구축하는 데 더 관심을 기울이며 그런 해결책에 무슨 문제가 있는지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경우는 많지 않음호기심, 전문적 비평 (Professional pessimism) 능력, 비판적 시각, 세밀한 것에 주목하는 태도, 긍정적인 의사소통과 관계 수립에 대한 동기 등의 사고방식 필요
확증 편향 때문에 자신이 한 일에서 실수를 발견하기 힘듦독립적인 테스터는 저자와는 다른 확증 편향을 가지기 때문에 작업 산출물 작성자 (즉, 비즈니스 분석가, 제품 오너, 설계자, 프로그래머 등)와는 다른 관점으로 결함 발견 효과를 높일 수 있음


문제

  1. 다음 중 테스트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인 심리 요인은 무엇인가?
    • a. 테스터는 자신의 전문성에 자부심을 가져야 한다.
    • b. 결함을 긍정적인 방법으로 전달한다.
    • c. 테스팅을 파괴적인 활동으로 인식한다.
    • d. 테스팅의 독립성은 확증 편향을 증가시킨다.

  1. 다음 중 개발자와 테스터의 사고 방식의 차이에 대해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 a. 개발자는 모든 코드에 결함이 없다고 믿지만, 테스터는 모든 코드에 결함이 존재한다고 믿는다.
    • b. 테스터는 그들의 활동을 파괴적으로 인식하지만, 개발자는 자신의 활동을 건설적인 것으로 인식한다.
    • c. 테스터의 독립성은 작성자의 편견을 방지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결함을 발견하게 한다.
    • d. 개발자가 코드에 결함이 유입되지 않도록 집중하는 동안, 테스터는 코드에서 결함을 제거하는데 집중한다.

12번 문제 정답: b

13번 문제 정답: c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