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A로의 전환 고려할 때 체크리스트

IMKUNYOUNG·2023년 7월 4일
0

MA to MSA

목록 보기
1/1

필요성 측면

  1. 비즈니스 요구사항

    • 조직의 비즈니스 요구사항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가?
    • 새로운 기능을 빠르게 개발하고 배포해야 하는가?
    • 시장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해 기존 시스템을 유연하게 변경해야 하는가?
  2. 확장성

    • 시스템의 성능과 확장성이 중요한가?
    • 시스템의 특정 부분만 확장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가?
    • 더 큰 규모로 시스템을 확장해야 하는가?
  3. 유지보수 및 변경 관리

    • 기존 모놀리식 아키텍처로 인해 유지보수가 어려운가?
    • 새로운 기능 추가나 버그 수정이 복잡하고 오랜 시간이 걸리는가?
    • 변경의 범위를 제한하고 서비스 간의 독립성을 갖추는 것이 필요한가?
  4. 팀 구조 및 조직 문화

    • 큰 규모의 팀이 협업하기 어렵거나 느린 결정 과정이 있는가?
    • 각 팀이 독립적으로 작업하고 출시하는 것이 필요한가?
    • 개발 팀과 운영 팀의 협업이 원활하지 않은가?
  5. 기술적 요소

    • 기존 시스템이 모놀리식 아키텍처로 인해 확장이 어려운가?
    • 서비스 간에 강한 결합도가 있는가?
    • 개별 서비스의 기술적 요구사항이 다른가?
  6. 클라우드 및 자동화

    • 클라우드 플랫폼을 활용하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싶은가?
    • 배포 및 인프라 자동화가 필요한가?
    • 운영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프라와 애플리케이션을 분리하고 싶은가?
  7. 유연성과 혁신

    • 기존 아키텍처로는 혁신을 추구하기 어려운가?
    • 신기술을 빠르게 적용하고 실험하고자 하는가?
    • 미래의 기술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유연한 아키텍처가 필요한가?


가능여부 측면

  1. 조직 문화 및 리소스

    • 조직은 현재의 개발 및 운영 문화가 MSA를 지원하는가?
    • MSA 전환에 필요한 인력 및 기술 리소스를 확보할 수 있는가?
    • 조직의 리더십은 MSA 전환을 지원하고 주도할 수 있는가?
  2. 시스템 복잡도

    • 현재 시스템은 복잡한 모놀리식 아키텍처로 구성되어 있는가?
    • 시스템의 기능과 서비스 간의 강한 결합이 존재하는가?
    • 시스템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분해할 수 있는가?
  3. 기술적 요소

    • 현재 사용 중인 기술 스택은 MSA를 지원하는가?
    • 마이크로서비스 간의 통신 및 데이터 공유를 위한 적절한 도구와 프로토콜이 사용되는가?
    • 필요한 기술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가? 필요한 기술 역량을 확보할 수 있는가?
  4. 데이터 관리

    • 시스템 내의 데이터 관리 방식과 데이터 모델이 MSA 전환을 지원하는가?
    • 데이터 소유권과 데이터 접근성에 대한 정책이 명확한가?
    • 데이터 일관성과 무결성을 어떻게 보장할 것인가?
  5. 운영 및 모니터링

    • MSA 전환 후 시스템 운영 및 모니터링을 위한 적절한 도구와 프로세스가 구축되는가?
    • 각 마이크로서비스의 상태 및 성능을 추적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가?
    • 운영 팀이 MSA 아키텍처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지원할 수 있는가?
  6. 보안

    • MSA 전환 후 시스템의 보안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가?
    • 각 마이크로서비스 간의 인증, 인가 및 데이터 보호를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 보안 취약점을 식별하고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가?
  7. 배포 및 롤백

    • 마이크로서비스의 독립적인 배포와 롤백이 가능한가?
    • 배포 프로세스와 CI/CD(Continuous Integration/Continuous Deployment) 환경이 구축되어 있는가?
    • 신속한 배포 및 롤백을 지원하는 운영 환경이 준비되어 있는가?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