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611 데이터타입

Gukbbap·2022년 12월 8일
0

[기초]JAVA

목록 보기
2/5

프로그램은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의 결합으로 이루어짐.
자료구조를 통해 데이터를 구성하고 표현하며 알고리즘을 통해 문제를 해결
데이터 표현 방법은 프로그램의 많은 영향을 주는데 이는 문제를 해결하는
알고리즘이 데이터의 표현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이다.
결국 데이터를 얼마나 잘 다루는지가 좋은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게 된다.

자바로 만든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자바의 데이터 타입을 이해할 필요가 있음
자바의 데이터 타입은
기본타입(Primitive type)과 참조타입(Reference type)으로 나뉜다.

기본타입(Primitive Type) - 8가지
정수, 실수, 문자, 논리 리터럴을 저장하는 타입을 말한다.
리터럴(Literal)이란 프로그램에서 직접 표현한 값을 말함
소스코드의 고정된 값을 대표하는 용어
즉. 정수 리터럴, 실수 리터럴, 문자 리터럴, 논리 리터럴이라도 함

킹포도의 코딩 - 기본타입 8가지
각각 변수마다 사용할 수 있는 값의 범위를 기억해야 하는 이유는
값의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오버플로우(Overflow)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오버플로우가 발생되면 내가 원하지 않는 값이 변수에 입력되기 때문이다.

기본타입의 변수는 스택영역에 데이터가 생성된다.

참조타입(Reference Type)
객체의 번지를 참조하는 타입으로 배열, 열거, 클래스, 인터페이스 타입을 말함
기본타입과 참조타입의 차이는 저장되는 값이 무엇인가 이다.
기본타입으로 선언된 변수는 실제 값을 변수에 저장하지만,
배열, 열거, 클래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선언된 변수(참조타입)는 메모리에
주소(번지)를 갖고 힙 영역에 저장된다.

(출처 : 킹포도의 코딩)

profile
Johannes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