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클러스터링, HA

버버니야·2022년 4월 28일
0

HA

HA : High Availability = 고가용성, 고가용도
가용성은 시스템 고장시 얼마나 빠른 시간내에 복구가 되어 정상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분석하는 척도.
HA 구성이란 이러한 가용성을 극대화 시키는 구성을 말하는 것으로서 '클러스터링, 이중화, RAID'는 범위로 보면 HA를 이루기 위한 방식들.

서버 클러스터링

서버 클러스터란?
각기 다른 서버들을 하나로 묶어서 하나의 시스템같이 동작하게 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들에게 고가용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클러스터로 묶인 한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면, 정보의 제공 포인트는 클러스터로 묶인 다른 정상적인 서버로 이동한다. 서버 클러스터는 사용자로 하여금 서버 기반 정보를 지속적이고 끊이지 않게 제공받을 수 있다.

높은 수준의 가용성, 안정성, 확장성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의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보다,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시스템을 이용

클러스터는 3가지 유형의 장애를 대비

  1. 어플리케이션과 서비스 장애 - 어플리케이션과 필수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2. 시스템과 하드웨어 장애 - 하드웨어를 구성하는 CPU, drives, memory, network adapters, 전원 공급기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3. 여러 기관의 사이트 장애 - 자연재해, 정전, 연결 중단 등으로 발생

이중화 (Duplex or Duplication)

HA를 높이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 = 이중화
서버가 두 대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
서버 두개가 동시에 서비스를 하는 경우 - HOT
서버 한대만 서비스 하고 하나는 여분으로 두는 경우 -COLD

RAID

저장장치를 이중화하는 방법

가장 많이 쓰이는 RAID
1. RAID 0 : 스트라이핑 - 데이터를 분할하여 여러 하드디스크에 저장
2. RAID 1 : 미러링 - 똑같은 데이터를 여러 하드디스크에 저장
3. RAID 5 : 패리티를 여러 디스크에 순환적으로 저장하는 방법

profile
안녕하세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