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head에 위치한meta 태그에 대해 알아보자meta라는 것은 어떤 것의 부가적인 의미를 갖는다HTML문서에 대한 정보인 메타데이터를 정의할 때 사용한다사실 이 메타태그에 대한 포스팅을 쓰게 된 이유는 줌인, 줌아웃을 막는 것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기
moment 라이브러리로 해당년도의 몇주차 인지 구할 때week 메서드와 format 메서드의 시작 지점이 다르다week() 메서드를 사용하면 해당 년도 1일이 포함된 주가 1주차 이지만format('YYYY-W') 으로 주차를 구하는 경우월요일이 포함되는 주가 1주차
Jira 백로그를 볼 때 완료된 것을 제외하고 해야될 일만 보고 싶었다하지만 기본으로 제공하는 필터가 없어서 커스텀필터를 추가해야했다Jira에서 커스텀필터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자위 사진과 같이 Board settings에 들어가면Quick Filters라는 탭이 있다
- OSI 7계층 프로토콜 종류 중 하나이다 -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응용 플고그램 또는 그 프로토콜 - FTP 또는 Telnet에 비해 장점은 "보안"이다
오늘 회사에서 flutter 앱 개발 이야기를 하다가 궁금한점이 생겼다HTTP는 요청이 있어야 응답을 보내주는데모바일의 푸시서버는 어떻게 푸시메세지를 서버에서 먼저 보낼 수 있을까?위키백과에선 이런 기법을 푸시 기법이라고 한다email도 push 서버 방식으로 동작하는
항상 session의 물리적인 위치를 잘 몰라서 궁금했었다session은 따로 지정하지않으면 node.js에선 서버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 같다(휘발성)추가적인 설정을 통해 json파일 같은 것으로 저장해서 관리할 수 있다https://velog.io/@daes
브라우저에서 처럼 ctrl + tab으로 전환 가능하다참고 : https://frhyme.github.io/vs-code/vscode_tab_move/
서버 (SMTP)-> 메일서버(추정 : 네이버, 다음 등) (POP3 or IMAP)-> 클라이언트인터넷에서 메일을 주고 받기 위해 이용되는 프로토콜TCP포트번호 : 25 (RFC2821)메일서버간 전송 규약유저가 메일서버에서 메일을 받기 위한 프로토콜TCP포트번호 :
tsc --projectCompile the project given the path to its configuration file, or to a folder with a 'tsconfig.json'.타입스크립트 파일을 자바스크립트로 변환(컴파일)e.g., Ts.ED
new Promise로 인스턴스를 만들 때 를 전달해야 된다await은 resolve에 전달한 것이 return 된다then으로 받는 것과 같다
Publish/Subscribe메세지 기반의 미들웨어 시스템publisher는 어떤 subscriber가 있는지 모르는 상태에서 메세지를 전송하고subscriber는 publisher에 대한 정보 없이 자신의 interest에 맞는 메세지만을 전송 받는 것확장성이 좋음
회사 SQL문을 공부하고 있다InnoDB에 대해 공부하고 있는데 MySQL엔진이라고 한다그런데 회사 도커 이미지는 mariadb를 사용하고 있었다그래서 mariadb에 대해 알아보려한다마리아라는 이름은 핵심 개발자의 둘째딸의 이름을 딴 것이다오라클 소유의 현재 불확실한
구조적 질의 언어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RDBMS)에서 자료를 관리 및 처리하기 위해 설계된 언어예약어(명령어)DDL(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정의 언어)각 릴레이션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입니다.CREATE, ALTER, DROP
Redis가 REmote DIctionary Server의 약자인걸 알았는데Dictionary가 뭔지 궁금해져서 알아보았다Dintionarykey - value 형태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자료구조hashmap, hashtable 이라고도 함Javascript의 Obj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https://www.tibco.com/ko/reference-center/what-is-an-in-memory-database주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RAM이라 GB단위 까지의 데이터 크기 제한이 있음내구성 보장모든 DB의 전제조건(ACID
동기 / 비동기블로킹 / 논블로킹위 개념들은 비슷해보이지만서로 다른 곳에 초점을 맞춘 개념조합하여 사용되는 것이라 더 비슷해보이는 것임동기와 비동기는 프로세스의 수행 순서 보장에 대한 매커니즘블로킹과 논블로킹은 프로세스의 유휴 상태에 대한 개념순차적 흐름 vs 순처적
Node Version Managernvm을 사용하면 command line을 통해 다양한 버전의 노드를 빠르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curl -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nvm-sh/nvm/v0.39.1/inst
이전에 husky를 사용해서 git hooks을 설정 하여 eslint를 강제하는 것에 대한 포스트를 작성했었다.https://velog.io/@gth1123/ESLint-%EA%B0%95%EC%A0%9C-%ED%95%98%EA%B8%B0-lint-stag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