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포스팅은 부산대학교 2023 백엔드 미니 부트캠프 2주차 학습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단말기 즉,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요청(request)-응답(response)이 있어야 한다. GET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
\* 이 포스팅은 부산대학교 2023 백엔드 미니 부트캠프 2주차 학습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이전 포스팅을 간략하게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클라이언트의 요청으로 아파치 등 웹 서버로 1차 처리를 거친 후 톰캣 등 WAS로 서블릿 객체를 만들어 요청과 응답을 처리한다.
\* 이 포스팅은 부산대학교 2023 백엔드 미니 부트캠프 2주차 학습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리플렉션(Reflection)이란? 객체의 메타데이터 가져오기 대부분 언어에서 객체는 자기 자신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자바에서도 마찬가지로 객체가 자기 자신에 대
\* 이 포스팅은 부산대학교 2023 백엔드 미니 부트캠프 2주차 학습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모델 1은 뷰와 로직을 모두 JSP 페이지 하나에서 처리하는 구조이다.예를 들어 메인 페이지, 회원 페이지, 게시판 페이지가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가정하자. 모델 1 방식은
\* 이 포스팅은 부산대학교 2023 백엔드 미니 부트캠프 2주차 학습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스프링을 공부하다보면 @Autowired, @Repository와 같은 어노테이션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 이런 어노테이션들은 <span style="color: 스프링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