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어본 페이지...자바스크립트는 빠른 사용성을 위해서 설계된 언어이며, 몇백만 줄의 어플리케이션을 작성하는데에 특화된 언어이다. 자바스크립트는 고유의 이상한 점이 있으며, 이는 꽤 많은 문제를 일으키게 되었다.또한 존재하지 않는 property에 접근을 허용한다.몇몇의
S3 bucketaws IAM권한github action소스파일S3에 대한 별도의 IAM유저를 생성했습니다. IAM에 대한 내용은 따로 다뤄야 할 것 같네요. (편리하지만 알아야 할께 많은 AWS입니다.)3\.이렇게 S3에 대한 IAM유저가 별도로 만들어졌습니다. 해당
AWS계정S3라는 스토리지 솔루션을 사용할 예정입니다.대충이라도 꼭 읽으시는걸 추천해요.우선 간단히 작성을 하기위해서 버킷이름과 리전을 선택하고, 이를 바로 버킷을 생성하도록 하겠습니다.정적 웹사이트에 대한 호스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bucket에 access
함수의 실행을 중간에 멈추고 재개 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합니다.결과값은{ value: 10, done: false } 기본적인 제너레이터의 출력값입니다.이런식으로 나타나게 됩니다.return 키워드가 호출이 되어지는 경우, done이 True로 변경되게 됩니다.제너레이
async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동기 프로그래밍의 방식으로 작성하는데에 특화되어진 문법입니다. Promise의 then사용 방식보다 가독성이 더 좋으나, Promise는 반환하는 비동기상태값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좀 더 포괄적인 개념을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
singleton pattern 객체 인스턴스가 오직 한개만을 생성하게 하는 패턴을 말합니다. ex) 클래스로 단 하나의 객체만을 생성하고 이를 사용함. 추후 메모리 낭비를 방지하고, 참조하기 쉽다고 합니다. 하나의 큰 Server라는 클래스를 만들고, constr
이후 만든 고양이 crud에 동적인자를 받아 업데이트 패치 삭제(임시)의 코드를 작성합니다.
공 식 문 서 를 보 는 게 최 고(https://expressjs.com/ko/guide/using-middleware.html이후에 정리 예정.
express를 간단하게 사용한다면야, app.ts에 다 넣는 방식을 사용 할 수 있겠지만,코드가 상당히 길어집니다. 이제 모듈을 분리해주는 작업이 필요하겠죠.app.get을 통해 여러 라우터를 만들었습니다. 이제 그것을 포함하는 한단계위의 라우터(app.get기준에서
기본적인 request에 대한 middleware를 작성하고, 이제 crudapi를 본격적으로 만들어 봅니다.현재는 연결할 DB가 없으니 임의로 만든 cats데이터를 활용하여 api를 만들어 만듭니다.이렇게 post도 추가합니다. 그리고 express는 기본적으로 js
양쪽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매개체입니다.이렇게 app.use에서 명시한 middleware가 먼저 실행되어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에 endpoint를 지정한 코드가 앞에있다면 어떻게 될까요? res에서 응답을 끝내버리기 때문에, mi
해당 내용은 Nest.js를 좀 더 깊이있게 사용하기 위한 express의 기초 사용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실제의 데이터가 아닌 개발자가 테스트를 하기위한 데이터를 말합니다.이전에 만든 node express app.ts에 해당 데이터를 불러와서 사용해봅니다.Cat
(어떤 aws솔루션이든 그렇겠지만) 생각보다 러닝커브가 있다. 디테일한 설정과 key개념이 약간 달라서 그런 듯하다.mongodb를 통한 typeorm방식과 같은 편안한 방식을 지원해주는 라이브러리가 없다. 첫째도 aws문서, 둘째도 aws문서이다.그렇기 때문에 실습문
https://docs.aws.amazon.com/ko_kr/sdk-for-javascript/v2/developer-guide/dynamodb-examples-using-tables.html
실제로 현업에서 내가 원하는 기술스택으로 딱 딱 맞춰서 개발하는 회사는 찾기가 많이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내가 내 pr을할 수 있는 이력서에서 다양하게 활용하면 정말 재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나만의 지속적인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성장한다는 느낌을 가지고 싶었
아주 전체적인 틀은 태그단위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고,이후 내부 들의 태그를 nth, > 같은 태그 방식으로 작성하는 것은 추후 유지보수하는데에 어려운 것 같다.내부적인 것들은 class단위로 속성을 적용하여 제어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smemo - 30분 단위 알람, 깔끔한 메모장, 일단위로 메모가 알아서 저장처리.sqlgate - 공짜 데이터베이스 솔루션, 기본적인 다크모드라 깔끔하고 편리함.smemo사용 해서 체크리스트 탄력적으로 만들면서 업무 진행하기.가요듣지말고, 누자베스나 로버트글래스퍼같은
https://velog.io/@geeneve/2021-%EB%B0%B1%EC%97%94%EB%93%9C-%EA%B0%9C%EB%B0%9C%EC%9E%90-%EB%A1%9C%EB%93%9C%EB%A7%B5#-%EC%9D%B8%ED%84%B0%EB%84%B7
https://help.dfinery.io/hc/ko/articles/360039757433-%EB%94%A5%EB%A7%81%ED%81%AC-Deeplink-URI%EC%8A%A4%ED%82%B4-%EC%9C%A0%EB%8B%88%EB%B2%84%EC%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