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724

송용진·2023년 7월 24일
0

AWS를 사용하는 이유

첫째, 간단하게 사용 가능합니다.
AWS는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다양한 도구를 제공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필요한 기능을 몇 번의 클릭으로 쉽게 설정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간단한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맞춤형 서비스를 작성할 수도 있습니다.

둘째, 확장성이 높습니다. AWS는 사용자의 비즈니스에 따라 유연하게 적응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필요한 만큼의 자원을 가용하게 하고, 필요한 시기에 그 크기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연성을 통해 사용자는 시스템 요구 사항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셋째, 안정성이 높습니다. AWS는 전 세계에 분산된 데이터 센터를 운영하며, 장애 발생 시에도 재해 복구용 서비스와 가용성 영향 최소화를 위한 낮은 시스템 다운타임을 제공합니다. 또한 AWS는 수준 높은 보안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데이터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합니다.
넷째, 비용 효율적입니다. AWS는 사용한 만큼 지불하는 방식으로 제공되므로, 소규모 또는 대규모 인프라를 구축하는 모든 유형의 사용자에게 비용 효율적입니다. 또한 AWS는 관리 형식으로 간단한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전문성이 필요한 서비스도 제공하기 때문에 소규모, 중간 규모, 대규모 기업 모두 사용하기 적합합니다. 따라서 AWS는 간단하고 유연하며 안정적이며 비용 효율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기업과 개발자들이 AWS를 사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Terrraform <- AWS 관리 자동화

AWS에서 테라폼을 사용하는 이유는?
테라폼은 Infrastructure as Code 도구로써,
클라우드 인프라의 프로비저닝과 관리를 자동화하고 표준화 할 수 있게 해준다.

테라폼 사용하고 싶다
-> AWS CLI를 설치
-> 액세스 키를 발급받고 로그인


IAM <- 사용자 권한 관리
IAM에서 정책은 권한의 모음
정책들은 미리 만들어져있다.


AWS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때 글로벌일수록 더 가까운 사용자에게 더 높은 성능을 정립하기 위해 인프라를 광범위하게 지리적으로 나눕니다. 이에 따라 global와 region은 AWS 인프라스트럭쳐 구조에서 사용하는 두 가지 개념입니다.

Global
Global은 전세계 모든 지역과 데이터 센터에서 제공되는 AWS 서비스의 일반 명칭입니다. AWS의 클라우드 서비스는 전세계 아키텍처에 집중하여 사용자들에게 가장 안정적이고 가용성이 높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여기에는 사용자에게 클라우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최소 지연 시간을 달성하기 위해 모든 데이터 센터를 연결하는 글로벌 네트워크가 포함됩니다. 일부 AWS 서비스는 글로벌 수준에서 작동하여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Region
한편, Region은 전 세계에 분산된 독립된 AWS 인프라 영역입니다. 각 Region은 물리적으로 서로 격리되어 있고, 각기 다른 지리적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여러 개의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s)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클라우드에서 AWS 리소스를 구축하고 실행할 수 있는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고, 데이터 보호 및 법적 준수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AWS Region은 성능과 응답성을 최적화하고 전세계 모든 고객에게 근접한 위치로 쉽게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도구로 작동합니다. 사용자는 높은 가용성을 유지하면서 지역별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특정 지역에서 리소스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AWS global은 AWS 서비스의 전세계 인프라를 나타내며, AWS Region은 서로 격리되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영역으로 떨어져 있는 AWS의 독립된 지리적 위치를 나타냅니다. 이들은 함께 작동하여 뛰어난 성능, 가용성 및 확장성을 제공하는 AWS 클라우드 서비스의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

region 밑에 가용영역이 있다.


AWS VPC(Virtual Private Cloud)는
AWS에서 제공하는 가상 네트워크 서비스


IPv4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는 IPv4 주소 할당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도입된 주소 지정 방식

IPv4
0.0.0.0~255.255.255
2^8.2^8.2^8.2^8

10.0(고정).0.0(사용가능) / 16
10.0.0.0~10.0.255.255 (255*255개 사용가능)
8+8 // 16

10.0.0(고정).0(사용가능) / 24
10.0.0.0~10.0.0.255 (255개 사용가능)
8+8+8 // 24

profile
개발자

0개의 댓글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