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좌변과 우변의 값이 같지 않거나 데이터 형이 다른 경우 true
ex) 3 !== 3 false
-
!= 좌변과 우변의 값이 같지 않을 경우 true
ex) 3 != 3 false
-
let [a, c] = [1, 2]
이런것이 "Destructuring"문법이다
-
State 언제 쓰나?
변동시 자동으로 html에 반영되게 만들고 싶으면 State를 쓰자
-
[...글제목];
전개연산자다
-
let [따봉, c] = useState('코트를 입자')
여기서 따봉은 실제 State이고 c는 State 변경 함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