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를 사용해 비교할 경우 일치의 기준도 너그러운 편이다.
- 문자열로 표현된 숫자와 숫자형의 숫자를 비교해도 true가 된다.
1 == '1' -> truetrue를 1,false를 0과 비교해도 true가 된다. 문자열 형태의 숫자로도 마찬가지다.
true == 1 -> truefalse == '0' -> truenull과undefined도 같게 취급한다.
null == undefined -> true
===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연산자를 사용하면 자료형까지 비교하므로 위의 사례들 전부 false가 된다.===의 부정은 !==으로 쓴다.document.write(출력 내용)
HTML페이지의 <body>태그 안을 JavaScript에서는 document라고 부른다.
<body>태그 안에 새로운 내용을 출력하고자 할 경우 자바스크립트에게 write 명령어를 전달한다. HTML태그 안에 출력되는 내용이므로 다른 HTML태그를
포함하여 출력할 수 있다.
- 작성 예시
<script> var detail = "출력 내용 예시" document.write("<h1>write 출력 예시</h1><br><p>"+detail+"</p>") </script>- 출력 형태
alert(출력 내용)
- 작성 예시
<script> var detail = "팝업 내용 예시" alert("경고 : " + detail) </script>- 출력 형태
prompt(출력 내용)
- 작성 예시
<script> var input = prompt("입력값 받기 예시"); alert(input) </script>- 출력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