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입장에서 브라우저가 어떻게 동작되는가에 대해
브라우저라는 것은 운영체제
랜더링이란 화면에다가 무엇을 뿌리는 것이다. 이렇게 하려면 데이터가 정리되어있어야한다.
랜더링 엔진은 통신으로부터 요청한 내용을 얻는 것으로 시작하는데 문서의 내용은 보통 8kb단위로 전송된다.
랜더링에서 문자열로 받고 그걸 해석하는데 그것을 돔트리를 구축한다고 한다****
Document Object Model 트리이다.
이제 돔트리를 구축(보여줘야할 애들과 안보여줄 애들)하고 CSS와 결합해서 보여줄 애들만 출력하는데 이를 랜더트리를 구축하는 것이라고 한다. *
Web과 app은 사실 목적이 다르다.
web은 정보를 뿌리는 것이 목적이라서 강조되는 것이 anchor(닻)이다.
이제 브라우저가 발전하다보니 CSS가 등장하게 되는데 브라우저는 이걸 처리를 못하니까 코드를 만나게 되면 css 코드를 스타일링 엔진에게 넘겨준다. 이것을 DOM대륙에서 스타일링 대륙으로 간다고 한다. 즉 어려운 작업이라는 뜻이다. window.document(이 두가지는 브라우저에서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api)를 API라고 하는데 즉 컴퓨터와 컴퓨터 프로그램사이의 연결이다.
html 문자를 해석하는 과정 html문서라고 함
초창기 브라우저는 정보를 보는데 주로 논문을 봤다. 논문은 문자열로 되어있기 때문에 거기에 마킹을 하기 시작했다. 그것이 마크업 랭귀지의 시작
정보는 구조가 있고 모여있다.
데이터와 데이터를 구분하는 것을 토큰이라고 부름(,의 개념?)
window. document. (이 두가지는 브라우저에서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api)를 API라고 한다.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의 연결이다. 요즘에는 통신이 들어간다. (자동완성의 기초, 구글 맵 등)
window는 브라우저의 창을 제어하는 역학 ex)팝업창
document는 지금 문서의 내용을 커스터마이징하는 역할
HTML5에서 요즘은 브라우저 내에서 오디오 비디오가 지원되기 시작했다. 또한 채팅 지오로케이션(위치 허용), real time comunication
web sql 의 마크는 데이터 베이스를 말한다.
JS의 브라우저 내에서의 작동을 알 필요가 있다.
web1.0, 2.0 이렇게 존재하는데 Web2.0이 되면 데이터를 받아와서 바로바로 뿌려준다.
웹 ->앱으로 보낼 때 HTML파일을 보내줄 수 없으니 json이 등장하게 된다.
이제 그러니까 HTMl파일을 밀어주면 안돼서 XML을 밀어주는 방법을 고안 또는 Json을 생각하게 된다. 이는 JS의 읽어들이는 방법이다.
브라우저 입장에서는 직접데이터를 처리해줘야하는데 이를 해주는 언어는 JS다.
브라우저에서 js 로 하는일
DOM->HTML태크 ->메모리상
메모리를 차지하고 있으면 다 객체다
DOM처리 => CRUD
이벤트 처리 => 클릭/드래그
window 제어하는 역할을 많이 하게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