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프로젝트 진행하면서 다뤄봤던 내용들을 정리했다.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은 Javascript 객체 문법으로 구조화된 데이터 교환 형식이다.
다양한 언어에서 데이터 교환형식으로 쓰인다.
ex) java, javascript, python 등
Json은 key와 value로 구성된다.
{
"key1" : "value1",
"key2" : "value2",
"key3" : "value3"
}
배열은 []
문자열은 ""으로 표현한다.
var jsonData = {
"개발부" : [
{
"이름" : "스티브",
"소속" : "1팀"
},
{
"이름" : "피터",
"소속" : "2팀"
}
]
}
console.log(jsonData.개발부[0])
console.log(jsonData.개발부[0].이름)
console.log(jsonData.개발부[0].["이름"])
/*이름 으로 출력하는것과 ["이름"]으로 출력하는 것의 결과는 같다.*/
/*
결과
{이름:'스티브', 소속: '1팀'}
스티브
스티브
*/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달할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며, 저장되는 데이터의 구조를 기술하기 위한 마크업 언어이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 프롤로그 : 버전, 인코딩의 정보를 가지고있다. */
<Dept> /* 루트 : xml에서 1개만 존재. 하위 항목들은 여러개 */
<team>1</team>
<name>스티브</name>
</Dept>
HTML | XML | |
---|---|---|
용도 | 데이터 표시 | 데이터 저장,전송 |
태그 | 미리 정의된 태그가 있음 | 고유한 태그 생성,정의 가능 |
구문규칙 | 대소문자 구분 X | 대소문자 구분 O |
공통점
데이터 직렬화 형식이다. 이 형식을 이용해 표준화된 방식으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또는 시스템간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차이점
JSON | XML | |
---|---|---|
패턴 | key-value 페어 사용 | 트리패턴 |
구문분석 | javascript 함수로 구문 분석가능. xml보다 빠름 | xml 구문 분석기를 사용해서 분석 |
참고
https://aws.amazon.com/ko/what-is/xml/
https://m.blog.naver.com/rodpold/222753497408
https://80000coding.oopy.io/e900f62f-3f47-454e-94a7-d4bc08b19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