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rray의 자료 갯수만큼 함수안의 코드를 실행해줌.
[1,2,3].map(function(){ console.log('1'); })
- 이러면 console에 1이 3번찍힘
2. 함수의 파라미터는 array안에 있던 자료임.
[1,2,3].map(function(a){ console.log(a); })
- 이러면 console에 1,2,3이 차례대로 표시됨
3. return에 뭐 적으면 array로 담아줌.
[1,2,3].map(function(){ return '123'; })
- 이러면 배열이 [123,123,123] 으로 바뀜.
[1,2,3].map(function(){ return <div>안녕</div>; })
- 📌 이런식으로 작성하면, 바로 화면 상에 안녕이라는 div가 3개 출력됨.
왜냐면, 위의 코드는 리액트상에서 {[<div>
안녕</div>
,<div>
안녕</div>
,<div>
안녕</div>
]} 이 문법과 동일한데, 자바스크립트상에서 배열은 표현식이기 때문에 바로 출력되어서 보여짐.
즉,{[1,2,3]}
이라는 문법이 화면상에123
으로 표시되는것과 같은 맥락임.
(표현식과 문장 참고)
4. 두번째 인자는 index를 뜻하며, 0~n까지 숫자가 1씩 증가함
[1,2,3].map(function(a,i){ console.lof(i); })
- 이러면 console에 0,1,2 가 출력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