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공간 안에 문자, 이미지 등의 구성 요소를 배치하는 작업이다.
사전적 의미와 동일하게 부유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float는 이미지와 텍스트 배치 용도로 등장했지만, 레이아웃을 만들기 위해 많이 사용되었다.


아래 소스코드를 보면, div의 block 속성으로 인해 각각 한 줄씩 차지하는 모습을 보인다.
<div class="container">
<div style="background-color:burlywood;">float 1</div>
<div style="background-color:burlywood;">float 2</div>
<div style="background-color:burlywood;">float 3</div>
<div>normal</div>
</div>

div.container 내부 div에 float: left 속성을 주게 되면 다음 그림과 같이 부유하여 왼쪽으로 달라붙게 된다.


float가 적용되면 normal flow에서 제외된다.
normal flow
css를 적용하지 않을 경우 웹 페이지의 element는 normal flow로 배치된다.
결론적으로 float를 주게 되면 다음 element의 레이아웃 배치에 영향을 끼친다.
해결 방법으로는 다음 element나 가상요소에 clear: both 속성을 주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태그 추가, 삭제, 변경이 이뤄질 때마다 float 해제 수정이 필요하다.
https://velog.io/@gga4638/Position
https://velog.io/@gga4638/Flexbo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