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명령어 (2)
git add : 해당 파일을 트래킹하게 만들어 줌
git status : 현재 상태 확인
git commit : 현재까지 모은것들로 버전을 만들어 줌
강의에서는 터미널에서 명령어를 이용해 커밋을 진행했지만,
내 환경에서는 파일을 수정해서 커밋을 진행하였다.
git log : 커밋 로그를 보여줌
GUI를 이용한 방법!
VS 코드에서 지원하는 소스 제어를 이용하면 쉽게 add, commit 등을 실행할 수 있다.
확장 프로그램 Git History를 이용해 History를 확인할 수도 있다.
GitHub에 내 프로젝트 업로드
1. 깃허브에서 new repository를 만든다.
2. git remote 명령어를 이용해 연동한다.
3. git push 명령어로 깃허브에 업로드.
오늘의 소감
어제 생일이라고 술을 좀 마셨더니 늦잠을 자버렸다(...)
늦게 일어나서 부랴부랴 강의를 들어봐도 집중이 잘 되지않아 쉬다가 저녁시간에 다시 듣게 되었다.
Git과 GitHub에 대해서는 주말에 복습을 다시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도 GitHub 아이디를 만들고, 레포지토리를 생성했더니 무언가 해낸 기분이 들어 조금 뿌듯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