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를 끝마치며..
사실 첫 프로젝트는 거의 아무것도 아닌정도였고, 두번째부터 본격적인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Node.js 의 express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 도서사이트 API를 구현하는 백엔드 프로젝트였는데, 기존에 express는 아니지만 koa를 이용해 node.js 프로젝트를 하나 해본 경험이 있어서 생각보다 어렵진 않을거라 생각했지만, 막상 해보니 녹록치 않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가장 어려웠던것은 창의력이였는데, 배운것을 기반으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한다는게 생각보다 어려웠다.
구현이 어려웠다기보단 무엇을 추가해야할지가 문제였고, 결국 생각나는건 랭킹기능 정도라 부랴부랴 만들어 제출했던 것 같다.
같은조 다른 팀원분들은 벌써부터 typescript를 사용해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하셨는데 살짝은 뒤쳐진것 같기도 하지만, 나대로 열심히 하고있으니까 크게 신경쓰지는 않기로했다.
중간에 본 테스트에서는 코드 한줄을 빼먹어서 get요청을 제외한 나머지에서 오류가 발생해 점수가 크게 나오지 않은 큰 문제가 생기기도 했지만, 실수도 배움의 기회라 생각하면 하나의 경험이라 생각하고 넘겨야겠다. 마음은 그렇지 못하겠지만..
앞으로의 기대
다음 프로젝트는 typescript 기반의 react인데, typescript의 기초를 공부해본적도 있고, react도 사용해봤지만 아직까지는 타입스크립트를 프로젝트에서 사용해본적은 없다.
그래서 그쪽이 더 기대가 되고 지금까지는 C언어를 통해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를 중점적으로 학습중인데, 오랜만에 대학교 신입생때 기억도 나고 가물가물했던 기초를 다시 공부할수 있어서 좋기도 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react를 좀더 갈고닦고, 프로젝트에 typescript를 사용하는데 익숙해져서 앞으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기존 프로젝트들도 typescript로 리팩토링 해볼수 있으면 해보고싶다.
향후 계획
react를 공부하면서, next.js를 같이 공부해보면 좋을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최근엔 react에서도 next.js를 권장하는 추세이기도 하고, 여러모로 next.js의 이점들이 많아보인다.
react프로젝트를 next.js프로젝트로 만들어가며, 프로젝트2에서 배운 백엔드를 이용해 풀스택 프로젝트를 만들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