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해시/ 폰켓몬(python)

Effy_ee·2023년 7월 21일
0

코딩테스트

목록 보기
27/118

해시(Lv.01) 폰켓몬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845

당신은 폰켓몬을 잡기 위한 오랜 여행 끝에, 홍 박사님의 연구실에 도착했습니다. 홍 박사님은 당신에게 자신의 연구실에 있는 총 N 마리의 폰켓몬 중에서 N/2마리를 가져가도 좋다고 했습니다.
홍 박사님 연구실의 폰켓몬은 종류에 따라 번호를 붙여 구분합니다. 따라서 같은 종류의 폰켓몬은 같은 번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구실에 총 4마리의 폰켓몬이 있고, 각 폰켓몬의 종류 번호가 [3번, 1번, 2번, 3번]이라면 이는 3번 폰켓몬 두 마리, 1번 폰켓몬 한 마리, 2번 폰켓몬 한 마리가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때, 4마리의 폰켓몬 중 2마리를 고르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6가지가 있습니다.

  1. 첫 번째(3번), 두 번째(1번) 폰켓몬을 선택
  2. 첫 번째(3번), 세 번째(2번) 폰켓몬을 선택
  3. 첫 번째(3번), 네 번째(3번) 폰켓몬을 선택
  4. 두 번째(1번), 세 번째(2번) 폰켓몬을 선택
  5. 두 번째(1번), 네 번째(3번) 폰켓몬을 선택
  6. 세 번째(2번), 네 번째(3번) 폰켓몬을 선택

이때, 첫 번째(3번) 폰켓몬과 네 번째(3번) 폰켓몬을 선택하는 방법은 한 종류(3번 폰켓몬 두 마리)의 폰켓몬만 가질 수 있지만, 다른 방법들은 모두 두 종류의 폰켓몬을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 예시에서 가질 수 있는 폰켓몬 종류 수의 최댓값은 2가 됩니다.
당신은 최대한 다양한 종류의 폰켓몬을 가지길 원하기 때문에, 최대한 많은 종류의 폰켓몬을 포함해서 N/2마리를 선택하려 합니다. N마리 폰켓몬의 종류 번호가 담긴 배열 num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2마리의 폰켓몬을 선택하는 방법 중, 가장 많은 종류의 폰켓몬을 선택하는 방법을 찾아, 그때의 폰켓몬 종류 번호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 1차 답안

런타임 에러로 실패🫠

def solution(nums):
    answer = 0
    pocketmon=[0]*(len(nums)+1)
    for i in nums:
        pocketmon[i]+=1
    
    for j in range(len(pocketmon)):
        if pocketmon[j]!=0 and answer<len(nums)//2:
            answer+=1
    return answer

💻 다른 사람 답안

훨씬 깔끔하다..!

def solution(ls):
    return min(len(ls)/2, len(set(ls)))
def solution(nums):
    if len(set(nums))>(len(nums)//2):
        return len(nums)//2
    else:
        return len(set(nums))

💡배운점

Set 함수

  • set은 수학에서 이야기하는 집합과 비슷합니다.

  • 순서가 없고, 집합안에서는 unique한 값을 가집니다.
    그리고 mutable 객체입니다.

  • 중괄호를 사용하는 것은 dictionary와 비슷하지만, key가 없습니다. 값만 존재합니다.

중복된 값은 자동 제거

>>> s = {1, 5, 1, 1, 1, 3, 7}
>>> s
{1, 3, 5, 7}

연산

union - 합집합

>>> a = {1, 2, 3, 4, 5}
>>> b = {3, 4, 5, 6, 7}
>>> c = a.union(b)
>>> a
{1, 2, 3, 4, 5}
>>> b
{3, 4, 5, 6, 7}
>>> c
{1, 2, 3, 4, 5, 6, 7}


intersection - 교집합

>>> a = {1, 2, 3, 4, 5}
>>> b = {3, 4, 5, 6, 7}
>>> c = a.intersection(b)
>>> a
{1, 2, 3, 4, 5}
>>> b
{3, 4, 5, 6, 7}
>>> c
{3, 4, 5}


difference - 차집합

>>> a = {1, 2, 3, 4, 5}
>>> b = {3, 4, 5, 6, 7}
>>> c = a.difference(b)
>>> a
{1, 2, 3, 4, 5}
>>> b
{3, 4, 5, 6, 7}
>>> c
{1, 2}


symmetric_difference : 대칭차집합 연산자(합집합 - 교집합)

>>> a = {1, 2, 3, 4, 5}
>>> b = {3, 4, 5, 6, 7}
>>> c = a.symmetric_difference(b)
>>> a
{1, 2, 3, 4, 5}
>>> b
{3, 4, 5, 6, 7}
>>> c
{1, 2, 6, 7}

출처 https://wikidocs.net/16044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