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t a = 1;
if (a + 1 === 2) {
	console.log('a + 1이 2 입니다.');	// 출력
}(특정 조건)이 만족 될 때만 {특정 코드}를 실행.
이 때 블럭 안에서 a를 새로 선언 가능함. 범위가 다르기 때문. 단 var는 좀 이상함.
const a = 10;
if (a === 5) {
	console.log('5입니다');	// 미출력
} else if (a === 10) {
	console.log('10입니다');	// 실행, 출력
} else {
	console.log('5도 아니고 10도 아닙니다.');	// 미실행
}const device = 'iphone';
switch(device) {
	case 'iphone':	// 아이폰일 때
		console.log('아이폰');	// 실행하는 식
		break;	// 안 넣으면 다 실행됨, 필수.
	case 'ipad':
		console.log('아이패드');
		break;
	case 'galaxy note':
		console.log('갤럭시 노트');
		break;
	default:	// 준비한 케이스 중 모두 없을 때
		console.log('모르겠음');	//실행할 값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