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kup 언어와 Markdown 언어는 문서 작성 및 데이터 표현에 사용되지만, 특히 Markup 언어는 HTML과 같은 웹 개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 아래 표를 통해 두 언어의 주요 차이점과 HTML의 웹 연관성을 비교 정리하였음.HTML(HyperText Ma
html을 열 수 있는 것은 웹 브라우저(마치 .pdf는 pdf 뷰어에서 열듯이)크롬, 엣지, 익스플로러, 사파리 등...뷰어 역할 뿐 아니라 다양한 기능 제공개발자 입장에서는 다양한 도구 제공HyperText Markup Language 웹 페이지가 HTML로 하나씩
웹 페이지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Element) 하나하나를 태그라는 표기법을 통해 작성하며 이를 통해 어떤 요소인지(제목, 본문, 이미지, 비디오 등) 알 수 있음아래의 예시대로 여는 태그, 닫는 태그를 통해 내용을 적음, 이를 통틀어 요소라고 함예시(HTML5에서는
h는 heading을 뜻함. 숫자에 따라 크기가 달라짐웹 브라우저가 h 태그를 훑으면서 이를 통해서 목차를 만들 수 있음(웹페이지 읽기 도구에서 쓸 수 있음)글씨 크기를 쓰는데 h 태그를 쓰지 않는 것을 권장, CSS font-size를 통해 직접 크기를 조정하는것을
div 태그는 특정 구역이나 구획을 분할하는데 쓰는 태그임, css가 없으면 아무 내용이 없으면 안 보임순수 컨테이너로 아무것도 표현하지 않음,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이 특징임(즉, 해당 태그에는 별다른 의미가 없다는 것)아이템을 묶어서 그룹화하려는 목적임(대부분
ol의 경우 ordered list 즉, 순위를 나타내거나 단계적으로 수행을 해야할 때 쓰는 태그(레시피 등)ul의 경우 unordered list로 순서가 없이 아이템을 나열할 때 메뉴 등에서 많이 쓰는 태그li의 경우 list item으로 단일 아이템의 경우 똑같이
이제부터 임베디드 요소인데, 임베디드 요소란 그 내용을 직접 코드로 작성하는게 아닌 외부의 소스를 불러와서 웹 페이지에 삽입하는 것임그래서 이미지, 비디오, 멀티미디어 자료를 주로 임베디드 요소로 씀img 태그의 경우 안 쪽 내용 없이 빈 요소이며, 속성들로 다양하게
이전까지의 요소들은 사용자에게 직접 주는 것이므로 이미 정보를 미리 입력하는 요소들이었음하지만 form 요소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받고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인터렉션의 성격을 띄고 있음회원가입 form, 설문조사, 주문 등 활용할 수 있음필수 정보가 없을 때 안내를 하는
메타데이터는 데이터를 설명하는 데이터 즉, 데이터를 위한 데이터임(마치 저자, 발행인 같은, 사진 촬영일시 등)HTML 문서를 설명하는 데이터라고 볼 수 있음head 태그의 경우 검색엔진에서 정보를 수집해서 노출하는데 어떤 데이터 설명인지가 주요한지 분류를 메타 데이터
id와 class는 일종의 식별자 역할을 함, 특정 태그에만 스타일을 처리하고 싶을 때 유용하게 씀id같은 경우는 고유 식별자의 특징을 가지고 있음, id에서는 스페이싱이 있으면 안됨, 동일한 id 사용도 안됨, 첫 시작은 숫자와 특수문자 사용 불가능함(구분이 필요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