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 리액트 개발자들이라면 대개 많은 사람들이 이 익스텐션을 사용하고 있을 것입니다.
(아님 망고🥭)
새 파일에서 rsc (혹은 rcc) 을 입력하면
요로꼬롬 이렇게 리액트 컴포넌트를 만들때 필요한 기본 골격이 자동완성됩니다.
하지만
React 17버전 부터 import React from 'react'
를 더이상 입력하지 않아도 되도록 바뀌어서 불필요한 라인이라 매번 지워줘야했고,
반면 useState
와 useEffect
는 항상 기본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매번 입력해야했습니다.
🤔 이것이 굉장히 비효율적이라는 생각이 들어 이번 기회에 직접 원하는 형태의 스니펫을 커스텀 해보기로 했습니다! 😁
import { useState, useEffect } from 'react';
const ${TM_FILENAME_BASE} = () => {
return(
<div>
</div>
);
}
export default ${TM_FILENAME_BASE};
Description : 스니펫의 설명을 적는 곳, 생략 가능
Tab trigger : 스니펫을 불러올 자동완성 단어 설정
저는 react snippet usehook... 뭐 이런 느낌으로다가 rsu
이라고 이름을 짓겠습니다.
설명과 자동완성, 스니펫 코드까지 전부 작성했으면 우측의 Copy snippet을 눌러줍니다.
자 이제 복사된 스니펫 코드를 들고 vscode로 이동합시다.
저는 ts 사용하니까 typescriptreact.json을 오픈 하겠습니다.
파일을 열면 무시라 무시라 주석이 쓰여져 있는데 다 지우고 아까 복사해둔 코드를 붙여넣어줍니다.
여기서 중요한거 !! 제일 바깥쪽에 괄호로 감싸줘야합니다 !!
파일 저장하고 나오면 끝입니다. 쉽쥬?
rsu
를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짠! 이렇게 원하는 형태의 스니펫이 나오게 됩니다.
음 아주 편하고 좋구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