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다운(markdown)은 일반 텍스트 기반의 경량 마크업 언어다. 일반 텍스트로 서식이 있는 문서를 작성하는 데 사용되며, 일반 마크업 언어에 비해 문법이 쉽고 간단한 것이 특징이다. HTML과 리치 텍스트(RTF) 등 서식 문서로 쉽게 변환되기 때문에 응용 소프트웨어와 함께 배포되는 README 파일이나 온라인 게시물 등에 많이 사용된다.
-위키백과
제목(headers)
h1부터 h6을 이용해서 제목을 표현할 수 있다
회색 박스로 감싸진 부분은 백틱(backtick)(`)으로 감싸서 작성
입력
# 첫 번째 수준 제목 (h1) ## 두 번째 수준 제목 (h2) ### 세 번째 수준 제목 (h3) #### 네 번째 수준 제목 (h4) ##### 다섯 번째 수준 제목 (h5) ###### 여섯 번째 수준 제목 (h6)
출력
인용(Blockquotes)
본문 안에서 인용된 내용을 표시하고자 한다면 > 기호를 사용
1단
2단
3단
4단
참고: 인용문 안에서 제목 수준을 표현할 수도 있다.
리스트
일반적인 불릿 리스트는 * + - 중 아무 기호나 이용
* 별도 + 플러스도 - 마이너스도 똑같이 나온다
코드블럭(Code Blocks)
한 줄짜리 코드블럭은 Tab을 이용해서 작성할 수 있다.
다만, 이전 문장으로부터 엔터를 두 번 입력해야만 가능
여러 줄의 코드 블럭은 백틱(`) 3개로 감싸서 작성한다.
입력
```c #include int main() { printf("Hello, world!\n"); return 0; } ```
출력
C
#include <stdio.h>
int main()
{
printf("Hello, world!\n");
return 0;
}
python
print("hello world")
java
public class helloWorld{
publ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 Worl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