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습: No
유형: 강의
작성일시: 2022년 7월 14일 오후 2:16
6번째 수업
- floatingActionButton - 보통 아이콘을 사용함.
- print()에 들어오는 노란선은 신경쓰지 않아도 됨 - 출시시 빼라.
- 내부적으로 변수를 사용할 때, 위젯을 사용할 때 ‘const’를 사용할 수 없음.
- Hot reload(번개) vs. hot restart((번개 회전)
- hot reload - 변수 값 갱신 없이 화면만
- hot restart - 전체 변수 값을 새로 계산
- setState() - 화면갱신
- 예제 5 해결
함수의 타입을 위젯으로 하면 여러가지 문제 해결됨. - Dart의 모든 것은 위젯!
import 'dart:math';
main() {
var rng = Random();
for (var i = 0; i < 10; i++) {
print(rng.nextInt(100));
}
}
- UI 관련 된 부분은 Flutter 키워드를 쓰고, 문법 관련해서는 Dart 키워드를 사용.
- 변수를 사용할 때 소문자로 시작해서 중간에 대문자를 사용 할 것.
- 다수의 개발자와의 코딩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전역변수 사용 말 것. - 지역 변수로 잘라 넣기
- 클래스를 만드는 방식은 자바와 동일, _(언더바는) 프라이빗 변수 임.
- Future 함수의 두번째 인자로 함수를 줄 수 있음.
- 이모지를 활용하면 더 깔끔한 느낌을 줄 수 있음(이미지 대신)
- 중단점을 이용하여 디버그 모드로 디버깅 할 수 있음.
- 대문자로 시작하는 것는 클래스명
- Homework#6 Stateful Matoodl 생명주기를 조사해 올 것.
- createState()
- initState()
- didChangeDependencies()
- build()
- didUpdateWidget()
- setState()
- deactivate() disp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