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im이란 git에서 사용이 가능한 에디터의 종류로 CLI(Command-Line Interface)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마우스가 사용 불가능하고 키보드만으로 출력하는 방식을 가지고 있는 환경이다.
vim에 들어가게 되면 기본적으로 normal mode인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입력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mode를 바꿔줘야 한다.
i버튼을 누르게 되면 insert mode로 전환이 되는데, 이 insert mode가 되면 파일 안에 내용을 수정하거나 입력을 할 수 있다.

이제 vim에 입력을 할 수 있는데, 모든 입력을 끝내고 다시 git화면으로 돌아가고 싶다면, 다시 normal mode로 돌아가야 한다. 키보드에 있는 esc버튼을 눌러주면 normal mode로 전환이 된다. 왼쪽 하단에 아무것도 써있지 않아야 normal mode이다.

그리고 키보드에 있는 shift+;를 눌러주게 되면 command mode로 전환이 된다.
아까 insert mode가 써있는 부분에 :가 생기고 커서가 깜빡여야 command mode로 전환이 된 것이다.

이 command mode로 전환을 시켰다면, 2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저장할 수 있고 다른 2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vim에서 나갈 수 있다.
| 명령어 | 의미 |
|---|---|
| w | 저장한다 |
| wq | 저장하고 나간다 |
| q | 나간다 |
| q! | 저장 안하고 나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