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고] Spotit 2차 회고

jade·2025년 10월 26일
0

스팟잇 MVP 배포가 끝나고 리뷰위크에서 취합된 피드백을 바탕으로 약 2달여간 운영 및 개선을 진행했습니다. 오늘 회고글에서는 어떤 점을 개선하였는지 살펴보며 협업을 되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피드백 수집 및 개선

일주일간 약 50+여명의 사용자들로부터 전체 시나리오에 대한 피드백을 들을 수 있었어요. 확실히 여러 직군(PM, FE, BE, PD)의 동료들이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서인지, UX에 관한 부분 뿐 아니라 개발자의 시선으로 성능과 관련한 피드백도 들을 수 있어서 뜻깊은 시간이였습니다. 나름 신경썼던 부분(버튼 인터렉션이나 실시간 알림 기능)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도 있어서 매우 뿌듯했습니다.

피드백을 바탕으로 비즈니스 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개선을 진행했어요!

  • 노쇼 정책 추가
  • 카테고리 선택 필터링 개선 : 선택개수 헬퍼 추가, 미리보기 삭제
  • 예약 프로세스 개선 : 예약 확인용 모달을 약관을 포함한 페이지로 확대
  • 팝업 카드 컴포넌트 구조 개선 : 정보의 중요성 순서대로 ui 변경, 웨이팅중인 팀수 추가
  • 유저 기능 및 설정 페이지 확대 : 공지사항/약관동의/고객센터 추가 & 회원탈퇴기능 개선
  • 모바일용 랜딩페이지 추가

기술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개선을 진행했어요!

  • 홈화면의 필터와 Url을 동기화하는 로직을 추가하여 여러 페이지 이동시에도 처음 필터가 유지되도록 개선했어요.
  • 쌓인 여러개의 알림 목록을 차례로 삭제할 때,낙관적 업데이트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 체감 반응성을 높였어요.
  • 운영, 개발, 로컬 환경을 분리하고 GitHub Actions를 이용해 자동화된 배포 환경을 구축했습니다.환경이 분리되면서 불필요한 로그 노출로 인한 보안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공용 로깅 모듈을 개발했으며,운영 환경에서는 Sentry를 도입하여 장애 발생 시 신속하게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는 모니터링 체계를 마련했습니다.
  • 대기순번 Polling 방식에 지수적 백오프를 추가하여 유연하게 요청주기를 변경하였어요. 서버 부하를 줄이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 (모바일 환경)지도 페이지에서 확대/축소시 발생하던 컴포넌트 침범 문제를 해결하였어요.

생산성 및 협업 툴 활용

  • Figma UI 시안을 버전별로 분리하고, 변경사항과 해당 변경사항이 영향을 줄 페이지를 정리해서 전달하는 방식으로 소통 구조를 변경했어요. 이전에는 변경사항이 어제 발생했는지, 어떤 부분을 변경해야 하는지 명확하지 않아서 이를 메신저로 확인하는데 추가적인 시간이 필요했어요. 2차 phase에서는 위 방식이 아주 효과적으로 적용되어서 디자이너-FE개발자간 불필요한 질의응답시간이 줄었어요.
  • API 문서를 Github-Wiki에서 Swagger로 변경했어요. api 스펙 변경사항을 보다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은 장점이었지만, 보다 문서가 간결화된 만큼 문서에 드러나지 않는 점을 묻고 확인하기 위한 소통시간은 더 필요했던것 같습니다. wiki와 병행해서 쓰면 더 좋을것 같다고 생각했어요.
  • 유비쿼터스 언어를 정리한 시트를 만들었는데 후반부에 가니 회의시간도 점차 잦고 길어지게 되었어요. 자연스럽게 시트를 들여다보지 않아도 즉각적으로 서로의 언어를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그래도 더 큰 규모, 더 전문적인 도메인의 프로젝트에서는 필요성이 있을것이라 생각합니다.

배운점

  • 두번째 phase에 노쇼 정책이 추가되었어요. 처음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만만치 않았습니다. 예약가능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사용자 상태가 늘어난것은 물론이고, 알림정책, 스케쥴링 등 프로젝트 전체에 걸쳐 변경사항이 가장 많았던 개선사항이였어요.
    QA시에도 노쇼정책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가장 중점적으로 테스트했고요. 이 과정을 통해 비즈니스 의사결정 하나가 개발 전반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수 있는지를 실감했습니다.
  • 컴포넌트를 변경, 유지보수 하면서 변경에 유연한 컴포넌트의 가치를 꺠닫게되었습니다. 처음에 구조를 잡을 때부터 확장성과 독립성을 고려한 설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눈물로 깨달았어요. props구조를 단순화하고, 상태와 관심사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리팩터링을 진행했어요.

  • 이 활동은 젝트에서 진행한 프로젝트입니다
profile
keep on pushing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