값 참조DOM 접근이전 프로젝트에서 몇번 사용했었던 경험이 있었는데 당시 리엑트를 공부하다가 useRef를 남발하지 말라는 정보(?)를 보고 이후 부터 DOM접근시에는 계속 document.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코드를 줄일 방법을 찾아보다가 document ...이
컴포넌트 최초 랜더링시에 애니메이션은 재생된다.하지만 리랜더링시에는 애니메이션이 다시 재생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된다.문제상황라우터를 통해서 같은 포멧의 페이지 전환을 하려고 한다.같은 주소에서 params만 변경되면 주소만 바뀌로 리랜더링이 일어나지 않는다.때문에 us
Lazy, Suspense 등의 리액트 관련 이야기를 하기전에 '코드분할'에 대해서 알고 넘어가자.코드 분할이란 SPA 기반 페이지에서 받아오는 파일을 분할하여 필요시에 해당 파일을 다운받게 하는 기법이다.SPA기반의 웹페이시 진입시 해당 페이지의 모든파일을 받아오게
HashRouter vs BrowserRouter
React Hook > ⭐ React Hook이란, 함수컴포넌트에서 React State와 생명주기 기능을 연동 할 수 있게 해주는 함수입니다. 함수컴포넌트 함수형컴포넌트와 함께 출시된것이 React Hook이다. 사실 Hook이 출시되면서 Hook을 사용한 애플리
React Hook : useEffect > ⭐ Effect Hook을 사용하면 함수 컴포넌트에서 side effect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side effect란, 데이터 가져오기, 문서 업데이트, 이벤트 설정, 해지 및 정리 등을 말한다. useEffect는
⭐ useState는 컴포넌트에 state변수를 추가할 수 있는 React Hook입니다.배열 구조 분해(구조 분해 할당)을 사용하여 A,setA와 같은 state변수의 이름을 지정하는 규칙을 가지고 있다.useState는 두 가지 배열을 반환한다. temp,set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