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한달 전부터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가 있는데, 여기서 이런 에러를 만나게 되었다. 저번에도 비슷한 에러를 만났던 것 같은데, 정리를 안했어서 이번에 정리하려고 한다.위는 유저의 프로필 페이지에서 props를 전달받아 현재 이 프로필 정보 페이지에서 수정할 수 있다
오늘 포스트는 Grid Template Areas와 Grid Row, Grid Column을 활용하여 레이아웃을 짜는 방법을 정리해보려고 한다.Grid Template Areas는 세세한 요소까지 아니라 부모 요소들의 레이아웃들을 짤 때 굉장히 유용할 것 같다. 일단
framer-motion은 Variants, Gesture, MotionValues 등 개념만 알고 나면 정말 쉽게 애니메이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라이브러리다. 정말 다양한 효과를 줄 수 있어서 화려한 효과가 필요한 UI에 자주 애용할 것 같다.
Recoil을 오랜만에 쓸 때를 대비하기 위한 간단한 포스트를 정리해봤다. 앞으로 Redux를 공부하고 써 볼 예정이기 때문이다. 나중에 다시 Recoil을 쓸 때 러닝 커브를 좀 더 줄여보기 위해 작성해보았다!
2022.05.10 ~ 2022.05.1110장. 클래스 (172p ~ 191p)자바스크립트에서 클래스는 자바같은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 달리 비교적 최근에 도입되었다.그러니까 클래스는 데이터가 전혀 들어있지 않은 템플릿 같은 존재고, 클래스를 이용해 실제 데이터를 넣
TIL (Today I Learned) 2022.05.05 ~ 2022.05.06 오늘 읽은 범위 6장. 오류 (130p ~ 152p)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TIL (Today I Learned) 2022.05.05 오늘 읽은 범위 6장. 오류 (130p ~ 152p)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깨끗한 코드와 오류 처리는 확실히 연관성이 있다. (...중략) 오류처리는 중요하다. 하지만 오류 처리 코드로
TIL (Today I Learned) 2022.05.03 오늘 읽은 범위 6장. 객체와 자료구조 (118p ~ 128p)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오늘은 이 장을 이해하는데 clean-code-javascript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안봤으면 자바
TIL (Today I Learned) 2022.05.02 ~ 2022.05.02 오늘 읽은 범위 5장. 형식 맞추기 (96p ~ 116p)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형식을 맞추는 이유는? 코드 형식은 의사소통의 일환이다. 의사소통은 전문 개발자의
2022.04.28 ~ 2022.04.293장. 주석 (68p ~ 93p)우리는 코드로 의도를 표현하지 못해, 그러니까 실패를 만회하기 위해 주석을 사용한다.(68p)그러므로 주석이 필요한 상황에 처하면 곰곰이 생각하기 바란다. 상황을 역전해 코드로 의도를 표현할 방법
오늘은 앞장에 비해 꽤 분량이 많다. 게다가 내용이 어려울 것 같은 "함수" 파트이기 때문에 이해를 잘하기 위해 읽으면서 정리를 하려고 한다. 그럼 바로 시작! TIL (Today I Learned) 2022.04.26 ~ 2022.04.27 오늘 읽은 범위 3장.
오늘은 과제는 진도를 나가지 않고 다른 사람들의 TIL을 보면서 복습하는 것이었다. 쭉쭉 계속 진도를 나가는 줄 알았는데 중간 중간 이렇게 복습 타임과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TIL을 적었는지 확인할 수 이 https://nomadcoders.co/community/t
TIL (Today I Learned) 2022.04.25 오늘 읽은 범위 2장. 의미 있는 이름 (21p ~ 38p)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장 제목이 있는 페이지에 그림이 하텍스트나 있다. 주위에 많은 아이들이 뛰어다니고 있으며, 소파에서
TIL (Today I Learned) 2022.03.09 오늘 읽은 범위 1장. 깨끗한 코드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나쁜 코드는 개발 속도를 크게 떨어트린다. 프로젝트 초반에는 번개처럼 나가다가 1-2년만에 굼벵이처럼 기어가는 팀도 많다. (4-5
!\[](https://velog.velcdn.com/images/forest0501/post/896e98d4-b518-4e35-b1fb-31f33ded77bc/image.jpeg야호 드디어 노마드 북클럽 시작한당!언제 시작하나 기다리고 있다가 내일 시작한다는
어제 Flexbox를 공부한 것에 이어 오늘은 Grid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사실 Grid의 A to Z까지 상세히 정리하기에는 이미 너무나도 잘 정리된 포스트들과 강의들이 나와있다.특히 1분코딩 이 포스트도 정말 잘 정리되어있고 공부가 많이 되었던 것 같다. 여기서는
Flexbox는 이제 개발하면서 css에서 절대 빠질 수 없는 요소가 되었다. 정말 한번도 안쓴적이 없었던 것 같다. 그런데 뭔가 기능이 더 많고 더 다양하게 쓸 수 있는데 매일 쓰는 것만 쓰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게다가 부모 컨테이너만 움직이니 자꾸 자식 아이템들
오늘은 자바스크립트의 기초 중의 기초, 기본 문법을 공부해본다. 지금 리액트를 하면서 무슨 자바스크립트 기초 중의 기초를 쓰는거지?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공부를 하면 할수록 자바스크립트 기초 지식을 탄탄하게 쌓아둬야 한다는 것을 느끼고 있다. 그리고 일단 머릿속에만
두 개의 React 프로젝트를 완성해보고 나니, 잘 정리된 파일 구조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파일 구조는 사실 개발자의 개인 취향에 따른다고들 하는데, 일단은 잘 알고, 왜 그렇게 하는지 기준을 세우고 하는 것과 그냥 막연히 나누는 것에는 차이가 있다고 생각한다.
노션이나 블로그에 공부한 것들을 드문드문 적어놓기는 했지만 이제는 매일 공부한 것들을 블로그에 올리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오늘(3월 25일)부터 TIL을 시작한다! 첫번째 TIL은 React에서 공식문서를 읽고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이 흥미로워 작성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