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적 페이지 소스코드를 확인할 때, PHP 파일 내부에서는 php 와 html 코드가 교대로 존재하는 이유가 궁금했다.
이렇게 두 종류가 교대로 나오는 이유가
동적 페이지에서는 (웹 서버 또는 무엇이) 동적으로 작동하는 로직으로 해당 파일을 계속 확인하면서 교대로 존재하는 코드를 처리하기 때문이지 않을까 예상했다.
(동적 처리? 유동적 처리?)
CGI 그리고 동적 페이지를 구성하기 위한 서버 사이드 스크립트 언어와의 관계를 생각하면 된다.
즉, PHP파일 내에 php와 HTML 코드가 교대로 나온 이유가 뭘까?
라는 의문점에 대한 접근방향은 두가지이다.
CGI를 이용해 정적, 동적 웹 페이지를 생성한다.
동적 페이지 -> 정적 페이지 -> 성능이슈 -> Java servlet -> JSP -> ASP -> PHP ...
소스코드의 70~90%가 화면 구성을 위한 코드이고, 30~10%가 비지니스 로직 목적의 코드(DB호출, 등)이라면, 모든 코드를 Java 언어로 구성하기에는 여러 단점이 존재한다. 생산성, 가독성, 등..
따라서 HTML로 화면 구성을 위한 코드를 명시하고, 비지니스 코드를 Java로 구성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 방식이다.
이런 이유로 정적 페이지 생성 일부 파일에 HTML, PHP코드가 혼재되어 있다.
파이썬을 기초로 배우지만, 실제 동적 페이지가 대부분이 자바, php 로 되어있다.